경제/부동산

'2억으로 10억 집 사세요'…지분형 주담대 하반기 나온다

KBDIO 2025. 5. 5. 22:40
반응형

집을 살 때 공공과 반반 지분투자를 통해 대출을 줄이는 '지분형 주택담보대출(모기지)'이 하반기 시범 사업을 통해 선보일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4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시범 사업 하반기 개시 등을 골자로 한 지분형 모기지 도입 로드맵을 다음 달 내놓습니다.

지분형 모기지는 예를 들어 10억원짜리 주택을 살 때 5억원은 스스로 조달하고, 5억원은 주택금융공사(HF) 등 공공 정책금융기관의 지분투자를 받는 구조입니다.

LTV(담보인정비율) 70%를 적용해 은행에서 대출받는다면 본인 자금 1억5천만원만 투자하면 10억짜리 주택을 살 수 있게 됩니다.

'영끌'을 해서 같은 집을 산다면 본인 자금 3억원에 은행 대출 7억원을 받아야 합니다.

주택금융공사가 투자하는 지분 5억원에는 은행 이자보다는 낮게 책정되는 사용료를 내야 합니다.
해당 주택을 팔 경우엔 주택 가격 상승분을 주택금융공사와 반반으로 나누게 됩니다.

중간에 여력이 생기면 주금공 지분을 추가 취득할 수 있습니다. 집값이 내려가는 경우 후순위 투자자인 주금공이 손실을 부담합니다.

금융당국은 무주택자 등을 상대로 시범 사업 대상자를 선정한 후 원하는 지역에 지분투자를 받을 집을 직접 고르도록 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무주택자 등의 조건에 따라 점수를 부여해 참가자를 뽑은 뒤 지분투자 대상 주택을 선택하게 할 전망입니다.

대상 주택은 지역별 중위 가격을 기준으로 서울 10억원, 경기 6억원, 지방 4억원 이하로 제한하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시범 사업 규모는 약 1천호로 관계 부처 간 협의 중입니다. 필요 재원은 4천억원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일각에서는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부동산 쏠림을 완화해야 할 정부가 지분형 모기지 도입으로 집값 상승을 부추긴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공공과 민간이 주택구입 부담을 나누는 지분형 주담대는 과거 박근혜·문재인 정부에서도 시도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 2013년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에게 매각 차익이나 손실을 기금과 대출자가 지분에 비례해서 분담하는 '손익 공유형 모기지'와 시세차익은 일정 부분만 공유하고, 손실은 대출자만 부담하는 '수익 공유형 모기지'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집값이 오르고 금리가 내리면서 이 정책은 외면받게 됐습니다.

2021년에는 수분양자가 분양가의 10∼25%만 내고 입주한 뒤 20년이나 30년에 걸쳐 남은 지분을 취득하는 방식의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이 추진됐으나 역시 안착에 실패했습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