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3.50%로 유지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 2월과 4월, 5월에 이어 4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이다. 3월과 6월에는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가 없었다.

 

한은은 앞서 지난해 4월과 5월, 7월(빅스텝, 0.5%포인트 인상), 8월, 10월(빅스텝), 11월 이어 올해 1월까지 7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 바 있다.

 

한은의 이날 결정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이 21개월 만에 2%(2.7%)대로 내려오는 등 물가 둔화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경기 상황에 보다 방점을 찍은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5.2%에서 2월 4.8%로 낮아진 것을 시작으로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둔화하며 한은 목표치(2%)에 근접하고 있다.

 

물가 요인에 더해 경제에 복병으로 작용하고 있는 가계부채 문제, 수출 부진 등 정부의 경기둔화 진단, 최근 새마을금고에서 불거진 금융 불안 우려 등도 기준금리 동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추가 인상 경계감이 높아지면서 한은 또한 추가 인상 부담이 높아졌으나, 물가 둔화, 수출경기 부진, 호주중앙은행 금리 동결 등은 한은의 추가 긴축 부담을 낮춰주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관련 익스포져, 취약차주 대출, 금융권 유동성 관련 잠재 리스크 부담 등을 언급하며 “현실적으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낮았다“고 진단했다.

 

한편, 오는 25~26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미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한 만큼 한미 간의 금리 차는 더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미 연준의 정책금리는 5.00~5.25%로 한미 간의 금리차는 상단 기준 1.75%포인트로 역대 최대로 벌어져 있다.

 

기축통화국이 아닌 우리나라 입장에서 금리 차가 더 커지면 환율과 물가 등에 대한 고민이 커진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