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달걀을 고르고 있다.
2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달걀을 고르고 있다.

 

지난 3월 생산자물가지수가 두 달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11월 이후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2개월 동안은 보합세를 기록했다.

 

22일 한국은행은 3월 생산자물가지수가 120.32(2020년 수준 100)로 전월(120.33)과 같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 1.3% 올랐다. 지난 2월 1.5% 상승 대비 오름폭이 줄었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낸 지수로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최근 동향을 살피기 위해 주 지표로 전월대비 수치를 사용한다.3월 농림수산물 가격이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농산물(-0.6%)이 내렸으나 축산물이 1.8%, 수산물이 0.5% 올랐다.

 

공산품(0.0%)은 석탄 및 석유제품(-4.3%)이 하락했으나 1차금속제품(0.8%)이 올라 보합세를 보였다. 산업용도시가스(-2.7%) 및 증기(-1.1%) 등이 내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은 0.2% 하락했다. 서비스(0.0%) 부문은 금융및보험서비스(-1.5%)등이 내렸으나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0.5%)등은 올라 전월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세부품목별로는 농림수산물품에서 전월대비 물오징어(19.9%), 게(22.2%), 돼지고기(6.1%), 달걀(6.8%) 등이 올랐고 딸기(-31.2%), 무(-8.4%) 등이 내렸다.특수분류별로는 식용 농림수산품과 가공식품이 포함된 식료품이 전월 대비 0.4% 올랐고, 석유제품 등이 포함된 에너지는 1.4% 내렸다. 식료품과 에너지 외의 품목은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

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의 선행지수로, 생산자물가가 오르면 소비자물가가 따라 오르는 경향이 있다. 이달 역시 유가 하락세 등에 따른 하방 압력이 높아, 생산자물가가 후행하는 소비자물가의 안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