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라면 수출액이 지난 8월 기준 1조 원을 넘겼다. 업계에서는 올해 안에 수출액 1조 5,000억 원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라면 수출액은 8억 달러(약 1조 700억 원)로 집계됐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 31.7%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1조 원 돌파 시점인 10월보다 두 달 앞당겨진 것이다.

 

라면 수출액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 연속 증가해 왔다. 이 추세로 보면 올해 연간 라면 수출액은 1조 5,000억 원 돌파가 확실시된다.국가별로 보면, 중국 수출액이 26.9% 증가한 1억 6,000만 달러(2,130억 원)로 가장 많았다. 중국 내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라면 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또 한국 라면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도 주요인으로 꼽힌다.

 

미국 수출액은 1억 4,000만 달러(1,860억 원)로 61.5% 늘었다. 소셜미디어(SNS)에서 한국 라면이 화제를 모으며 유행으로 번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

 

유럽 내 라면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다. 네덜란드 수출액은 6,000만 달러(약 800억 원)로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8.3% 증가한 금액이다. 또 영국과 독일도 작년 동기 대비 수출액이 각각 64.9%, 47.4% 늘었다.이에 라면 제조사들은 해외 시장 공략에 더 속도를 낼 방침이다.

 

농심은 부산 녹산국가산업단지에 수출 전용 공장을 2026년 완공할 계획이다. 공장이 본격 가동에 들어가는 2026년 하반기부터 농심의 연간 수출용 라면 생산량은 연간 10억 개가 된다. 기존의 2배 규모다.

 

삼양식품은 지난 7 네덜란드에 판매법인을 설립하고 유럽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미국 수출 확대를 위해 밀양 2공장을 증설하고 있다. 생산라인이 6 늘어나면 연간 생산량은 6 9,000개로 확대된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