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넷플릭스 시너지 확인... 네이버 멤버십 신규가입자 1.5배↑
신규 가입자 60% 구매력 높은 30-40대..네이버 쇼핑 지출 늘어
넷플릭스도 가입 연령대, 지역 넓어지는 등 시청자층 넓혀
'네넷'. 멤버십으로 묶인 네이버와 넷플릭스를 칭하는 말이다. 네이버와 넷플릭스가 6개월 만에 협업 성과를 점검한 결과 '네넷 팬'들이 크게 늘면서 둘 사이의 협업 시너지가 확인됐다.
지난 28일 네이버와 넷플릭스는 서울 종로구 네이버스퀘어종로에서 '네이버 넷플릭스 밋업'을 열고 협업의 성과를 점검했다.
지난 11월부터 월 4900원의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가입하면 넷플릭스의 광고형 스탠다드 이용권(월 5500원)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둘 사이의 협업에 반신반의하는 이들도 많았다.결과는 수치로 확인된다. 네이버 멤버십 신규 사업자가 일평균 1.5배 늘고, 네이버 멤버십 신규 가입자의 60%를 구매력 높은 30-40대가 채웠다. 멤버십에 신규 가입한 이들로 인해 네이버 쇼핑 지출이 30% 이상 확대됐다. 리텐션(구독 유지율)수도 95% 이상의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정한나 네이버 멤버십 리더는 "포인트 적립 중심으로 한 탄탄한 생태계를 자랑하는 네이버멤버십에 새로 가입한 가입자의 쇼핑 사용성이 30% 높아졌다"라며 "이들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 높고 구매력도 높다. 단순한 콘텐츠 제휴를 넘어 서비스 측면에서 긍정적인 연계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넷플릭스도 협업을 통해 이전보다 더 폭넓은 가입자들을 품게 됐다. 가입 연령, 지역이 넓어졌다. 특히 30-40대 남성이 넷플릭스에 대거 유입됐다. 디지털 활용도가 높고 콘텐츠 구매에 주도적인 경제주체들이 넷플릭스에 추가됐다. 최윤정 넷플릭스 사업개발부문 디렉터는 "네이버에서 유입된 사용자들이 지난 명작이나 색다른 장르를 재조명하는 흐름이 있는데, 넷플릭스를 처음 이용하거나 이용했다가 다시 돌아온 이들이 자신의 흐름대로 콘텐츠를 택하는 것으로, 보다 넓은 사용자층이 확대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들은 '네넷'의 시너지가 극대화된 사례로 넷플릭스의 대표 콘텐츠 '오징어게임2'를 꼽았다. 네이버와 함께한 광고 속에서 오징어게임2에 나오는 핑크가드의 손짓, 걸음걸이까지 세세하게 설정하며 주목을 끌었다.
또 오징어게임의 캐릭터 중 하나인 '딱지맨'이 지하철역에 나타나는 깜짝 이벤트를 네이버지도와 함께 진행하고, 네이버 클립으로 현장감을 보여주는 등 콘텐츠와 플랫폼이 만나 톡톡히 시너지를 봤다.
네이버 1784 사옥의 햇빛 차단 루버를 이용해 '네넷'이라는 글자를 사옥 전면에 노출하는 이벤트도 접근성을 높이는 데 한몫했다고 평가했다. 최근에는 '네넷해(네이버멤버십과 넷플릭스를 구독해)' 캠페인으로 진화하고 있다.
양사는 앞으로도 협업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정 리더는 "앞으로 추가적인 협업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말했다. 최 디렉터도 "앞으로도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 더 좋은 혜택을 주기 위해 협업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넷플릭스 고객의 55%는 가장 저렴한 광고요금제로 가입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기존 요금제보다 네이버 멤버십 요금제를 낮게 책정한 데 대해 '넷플릭스에게 손해가 아닌가'라는 시각도 있다. 이에 대해 최 디렉터는 "한쪽에만 유리한 계약이라면 애당초 성립할 수 없었다"라며 "이번 제휴 역시 넷플릭스를 만날 수 있는 다양한 방식 중 하나로, 양사 모두에게 의미가 있었기 때문에 성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넷플릭스가 전세계적으로 네이버와 같은 플랫폼과 협업을 맺은 일은 별로 없는데, 네이버의 플랫폼성에 주목했다"며 "단순히 서비스를 넘어선 플랫폼으로 국가를 대표하는 플랫폼으로서 전 연령대로 펼쳐 있기 때문에 넷플릭스 차원에서 의미가 있는 협업이다"라고 말했다. 향후 네이버의 글로벌 진출에 넷플릭스가 도움을 줄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최 디렉터는 "네이버 파트너십에 있어 사용자에 베네핏을 주는 방향으로 (협업이) 열려 있다"고 설명하며 "앞으로도 네이버와 다양한 콘텐츠 및 마케팅 협업이 준비돼 있으니 기대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