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헨리 키신저(99) 전 미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99) 전 미 국무장관

미국의 외교 원로이자 국제정치학자인 헨리 키신저(99) 전 미국 국무부 장관이 미·중 갈등으로 5~10년 안에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7일(현지시간)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키신저 전 장관은 "인류를 파괴할 능력이 있다는 점에서, 지금 당장 평화를 위협하는 두 개의 최대 위험은 미국과 중국"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는 세계 1차대전 이전과 같은 상황에 처해있다"며 "양쪽 모두 정치적으로 양보할 여지가 별로 없고, 평형을 깨뜨리는 어떤 일이라도 재앙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류의 운명은 미국과 중국이 잘 지내느냐에 달렸다"며 "5~10년 안에 전쟁을 피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인공지능(AI)의 급진전으로 3차 세계대전을 막을 시한이 5~10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역사를 보면 지리의 한계, 정확성의 한계 등으로 적군을 완파할 능력이 있었던 적이 한 번도 없었다"며 "이제는 (AI 때문에) 그런 한계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AI를 지금 와서 폐기할 수는 없으므로 양국이 핵 군축처럼 AI 군사능력에 대한 억지력을 위해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현실주의에 바탕을 둔 공존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미·중 양국이 대만에 관한 입장을 근본적으로 유지하되, 미국은 병력 배치에 신중을 기하고 대만 독립을 지원한다는 의심을 사지 않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대만에서 우크라이나식 전쟁이 일어난다면 대만이 파괴되고 세계 경제가 충격에 빠지며 중국 또한 후퇴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1970년대 미국 국무장관을 지내며 동서 진영 간 데탕트(긴장완화)를 설계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공로로 1973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미·소 냉전의 산증인이자 국제정치학계의 대부로 통한다. 그는 오는 27일 100세 생일을 맞는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