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본의 쌀 도매가격이 3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폭염으로 쌀 유통량이 감소한 가운데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외식 수요가 회복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30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최근 일본 쌀 도매가격이 냉해로 인해 쌀 가격이 치솟은 1994년 ‘헤이세이 쌀 파동’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주요 쌀 품종인 니가타산 고시히카리 60kg 도매가격은 2만 8,050엔(약 25만 1,000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두 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아키타산 아키타코마치도 지난해 대비 81% 오른 2만 7,650엔(약 24만 7,400원)에 거래되고 있다.쌀 품귀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지난해 폭염으로 인한 흉작이 꼽힌다. 수확량은 예년과 비슷하지만, 폭염으로 인해 잘게 부서지는 등 쓰지 못하는 쌀 비중이 커 유통량이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외식업계의 쌀 구매 수요가 높아진 것도 한몫했다.

 

실제로 30일 일본 농림수산성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7월~올해 6월까지 주식용 쌀 수요는 702만 톤(t)으로 전년 동기보다 11만t(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쌀 소비량 증가는 10년 만이다.

 

쌀 소비량이 급증하면서 6월 말 기준 민간 재고량은 전년 동기보다 21% 감소한 156만t을 기록했다. 이는 1999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6월 말 기준 재고율 역시 최근 3년 중 최저치인 22.2%에 불과했다.유통량 감소에 기존 재고까지 빠르게 소진되면서 3월부터 본격적으로 쌀 가격이 치솟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일부 마트에서는 사재기를 방지하기 위해 쌀 구매 제한에 나섰다. 도쿄 네리마구에 있는 아키다이마트 본점은 고객 한 명당 쌀 구매를 한 품목으로 제한했으며, 오케이마트는 가족당 10kg, 라이프마트는 가족당 2점으로 제한했다.

 

또 한 마트는 이달 쌀 가격을 전월 대비 10~20% 인상했으며, 또 다른 대형 슈퍼마켓은 재고 부족으로 예정되어 있던 쌀 특별 세일을 취소했다.

 

닛케이는 지난해 여름 폭염의 영향으로 품질 좋은 유통량이 줄면서 도매회사들은 재고가 부족하다" 올해 출하되는 쌀이 본격 유통되는 9월까지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올해도 폭염이 이어지고 있어 공급 부족 문제는 내년에도 재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