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애플, AMD 첫 고객 예상
2나노 공정수율 60% 넘어 
3분기 삼성과 점유율 격차 더 벌어져

대만 TSMC 글로벌 R&D 센터
대만 TSMC 글로벌 R&D 센터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내년부터 최첨단 2나노(㎚·10억분의 1m) 공정 제품 양산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현재 건설 중인 남부 가오슝 공장에서 생산할 예정이며 애플과 AMD가 첫 고객이 될 가능성이 높다. 

 

6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TSMC는 최근 2나노 공정 제품의 시험생산 수율(생산품 대비 정상품 비율)이 60%를 넘어서면서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나노는 반도체 회로 선폭을 의미하는 단위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앞선 양산 기술은 3나노다. 반도체 회로 선폭이 좁을수록 소비전력이 줄고 기술 처리가 빨라지는 만큼 수율 기술 난이도가 높다.TSMC는 2나노 공정 수율이 60%를 넘어서면서 북부 신주과학단지에서 시험 생산하고 있는 2나노 기술을 현재 건설 중인 가오슝 공장으로 옮길 계획이다. 가오슝 난쯔 과학단지에 건설하고 있는 2나노 1, 2공장은 각각 내년 1분기와 3분기에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TSMC 글로벌 파운드리 생산 공장 현황.
TSMC 글로벌 파운드리 생산 공장 현황.

대만언론은 TSMC의 내년 설비투자 금액은 최대 380억달러(약 53조9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는 역대 최대 설비투자 금액이었던 2022년 362억9000만달러(약 51조4000억원)를 넘어서는 것이다.

 

자유시보는 “TSMC가 내년에 대만 및 해외에 신규 공장 10개를 동시에 건설할 예정”이라며 “이같은 설비투자 내용은 올해 4분기 실적 설명회에서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TSMC는 3분기 2위인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더 벌렸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TSMC의 3분기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64.9%로 지난 2분기보다 2.6%포인트 상승했다.반면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11.5%에서 9.3%로 2.2%포인트 하락했다. 두 회사의 격차는 지난 2분기 50.8%포인트에서 3분기에 55.6%포인트로 확대됐다.

 

트렌드포스는 “TSMC 플래그십 스마트폰 제품, 인공지능(AI) 반도체 출시로 용량 가동률과 웨이퍼 출하량이 증가했다삼성전자는 성숙 공정에서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 심화가 가격 인하로 이어져 전분기 대비 매출과 점유율이 감소했다 설명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