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혼게이자이신문 인터뷰… 중국 딥시크 "성능 새롭지 않아"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스마트폰을 대신할 생성형 AI 전용 단말기와 독자 반도체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세계 AI 업계에 충격을 준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에 대해선 "새롭지 않다"는 박한 평가를 내렸다.
올트먼 CEO는 3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의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AI 전용 기기에 대해 "협력을 통해 할 것"이라며 "AI는 컴퓨터와 접하는 방법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때문에 새 단말기가 필요하다. 음성 조작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올트먼은 아이폰을 디자인한 애플 전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와 함께 AI 기기를 개발 중이다. 시제품이 나오는 데는 앞으로 수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닛케이는 전 세계 3억명 이상이 이용하는 챗GPT와 이에 최적화한 기기를 통해 오픈AI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면에서 AI 시장을 장악하려는 것이라고 봤다.
올트먼은 생성형 AI 개발과 이용에 꼭 필요한 반도체 개발에 대해서도 "우리 회사에서 대응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닛케이는 올트먼이 데이터 센터에 자사 설계 제품을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올트먼은 딥시크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에 대한 평가도 내렸다. 그는 "성능은 새로운 게 아니다. 오픈AI는 이전부터 이 수준의 모델이 있었고, 앞으로도 더 좋은 모델을 계속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딥시크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의 반도체와 소규모 인프라로 오픈AI 등 선두 주자들을 위협하는 AI 모델 '딥시크-V3'와 '딥시크-R1'을 출시했다.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딥시크가 AI 모델 훈련을 위해 오픈AI 데이터를 무단으로 수집했는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오픈AI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SBG)과 일본에서 AI 인프라 구축에도 나설 예정이다. 일본 전역에 AI 개발용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센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 시설을 함께 짓겠다는 구체적인 그림도 그렸다.
양사는 이날 도쿄에서 일본 기업 500개 사 이상과 모임을 갖고 운수, 제약, 금융, 제조, 물류 등 폭넓은 업종의 기업에 이 사업에 참여를 요청할 계획이다.
현재 일본을 방문 중인 올트먼은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과 함께 이날 오후 도쿄 총리 관저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면담하고 이런 AI 구상을 밝힐 예정이다.
닛케이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오픈AI가 일본과 협력에 나섰다고 봤다.
앞서 지난달 오픈AI는 소프트뱅크·오라클과 함께 AI 합작사 스타게이트를 만들고 향후 4년간 5000억 달러(약 729조원) 이상을 투자해 미국에 AI 데이터센터 등을 구축한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