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 개발을 위해 현대차·기아와 삼성이 손을 맞잡았다.
현대차·기아와 삼성SDI는 지난 24일 경기 의왕연구소에서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로봇에 최적화한 배터리를 개발하고, 이를 다양한 서비스 로봇에 탑재하겠다는 목표다.
현재 상용화된 로봇들은 전용 배터리 부재로 전동 공구나 경량 전기 이동수단(LEV) 등에 쓰이는 배터리를 주로 탑재하고 있다.하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로봇은 배터리 탑재 공간이 제한적이라 규격에 맞춰 작은 셀을 적용하면 출력 용량이 줄어드는 한계가 있었다.
양사는 배터리 형태를 로봇 내 제한된 공간에 넣을 수 있도록 최적화하고,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켜 출력과 사용시간을 대폭 늘린 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를 개발하기로 했다.
현대차·기아의 로봇에 양사가 개발한 배터리를 탑재하며 실험이 이뤄질 전망이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신규 개발 배터리의 로봇 적용 평가와 성능 고도화를 담당한다. 현대차·기아는 로봇 개발 및 운용 경험을 활용해 배터리 최대 충·방전 성능, 사용 시간, 보증 수명 평가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삼성SDI는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해 고용량 소재를 개발하고, 설계 최적화를 통한 배터리 효율 고도화를 추진한다. 양사는 로봇 배터리 사용 시간이 기존 대비 대폭 늘어나고 가격 경쟁력도 갖출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또 양측은 이번 공동 개발을 계기로 로봇 전용 배터리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향후 개발된 로봇 전용 배터리를 다양한 서비스 로봇에 탑재하기로 했다. 로봇 시장 저변 확대를 위한 공동 마케팅에도 나선다. 오는 3월 개최되는 '인터배터리 2025'의 삼성SDI 전시관에서 현대차·기아의 서비스 로봇 '달이'(DAL-e)와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MobED)를 전시한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현동진 상무는 "로보틱스랩의 로봇 기술과 삼성SDI의 배터리 기술을 결합하면 장기적으로 배터리 수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시장 확대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갖춘 로봇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