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설계 강자' ARM 둘러싼 눈치게임
ARM에 남은 M&A 선택지 적어
이재용 ARM 단독 인수 가능할까?

ARM은 소프트뱅크의 자회사이자, 영국 반도체 설계회사이다. 인텔이나 삼성전자. 퀄컴 등 일반인에게 잘 알려진 반도체 회사와 달리 '눈에 보이는 상품'을 제조, 판매하는 곳이 아니다. ARM이 판매하는 건 '설계자산(IP)'이다. IP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라이선스 비용과 로열티 수익을 받는다. 여기서 ARM이 판매하는 IP란 반도체의 '설계도(아키텍터)'를 말한다. 

ARM

'반도체 설계'는 퀄컴, 엔비디아 등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팹리스(반도체 설계회사: Fabless)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팹리스는 설계가 전문화되어 있는 회사로 패브리케이션(fabrication)과 리스(less)를 합성한 말이다.)

(파운드리는 반도체 회사나 팹리스 회사에서 위탁받아 반도체 제작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회사를 말한다.)

ARM

시장에서 추정하는 ARM의 가격은 600억 달러(약 82조원)에 이른다. 연 매출이 27억 달러(2021년 기준) 수준인 기업 치고는 비싼 편이다. 엔비디아가 인수를 시도했던 2020년의 ARM 몸값이 400억 달러였으니, 불과 2년여 만에 몸값이 1.5배나 뛰어오른 셈이다. 그래서 ARM을 두고 '그림의 떡'이란 평가가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누구나 탐내지만 아무나 가질 수는 없다"

 

설계도를 만드는 기업은 ARM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인텔 CPU에서 주로 쓰이는 'X86'이 인텔의 설계도다. 반도체 시장에서 ARM의 설계도를 기반으로 만드는 반도체 칩셋의 비율은 60~70% 수준이다. 

 

소프트 뱅크에 따르면 ARM 설계도로 만든 모바일 AP는 전체의 90%(2019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 : 엑시노스 시리즈

퀄컴 : 스냅드래곤 시리즈

애플 : A 시리즈

미디어텍 : 디멘시티 시리즈 

이 4업체 모두 ARM 설계도로 만들었고, 인텔이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PC, 서버용 CPU 시장에서 ARM은 무섭게 성장했다. 시장조사업체 머큐리 리서치에 따르면 2020년 3분기 2%대에 그쳤던 ARM PC용 CPU 시장점유유은 1년 만인 2021년 3분기 8%로 4배가량 뛰어올랐다. 

 

애플의 변곡점

인텔과 15년간 동맹관계를 유지해온 애플이 2020년 말 결별을 선언했고, 인텔의 CPU 대신 ARM 설계도 기반의 CPU를 탑재했다. 애플의 선택이 서버용  CPU 시장에서도 유사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알리바바 등 ARM 설계도를 기반으로 서버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빅테크 기업들이 점차 늘고 있어서다.

ARM 아키텍처 칩셋 출하량

실제로 시장의 전망도 이런 흐름과 궤를 함께한다. 대만의 IT전문매체 디지타임스는 “2020년 3% 안팎이었던 ARM의 서버용 CPU 시장점유율이 2024년 10%대로 오를 것”이라면서 “반면, 인텔의 시장점유율은 같은 기간 87%에서 70%대로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참고: 인텔과 ARM의 설계도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인텔의 설계도는 ‘복합명령어집합컴퓨터(CISCㆍ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방식을 쓴다. CISC의 장점은 복잡한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용이하고 호환성이 높다는 점이다. 하지만 전력 소모가 많고 속도가 다소 느린 게 단점이다.

반면, ARM의 설계도는 ‘축소명령어집합컴퓨터(RISCㆍ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RISC는 복잡한 명령을 수행하기엔 부적합하지만 전력 소모가 적고 속도가 빠르며 경량화에 용이하다. 당초 ARM의 RISC 방식 아키텍처는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PC용 CPU에는 적합하지 않을 거란 평가가 많았다. 하지만 애플이 ARM 설계도로 고성능 CPU를 만들어내면서 시장의 평가를 뒤바꿨다. 다만, 요즘은 CISC와 RISC의 특징이 뒤섞이면서 정확한 구분이 무의미해지고 있는 추세다.]

 

지금까지의 상황만 살펴봐도 ARM의 기술력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당하다. 더 주목해야 할 건 머지않은 미래에 그 영향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 등 첨단기술이 선도하는 미래 산업에선 반도체 설계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종환 상명대(시스템반도체공학) 교수는 “팹리스는 대부분 ARM의 설계기술을 활용하는데,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선 반도체 설계를 하기 위해 피할 수 없는 부분”이라면서 “AI, 로봇, IoT 등의 개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일 공산이 크고, 그로 인해 ARM의 위상은 점점 커질 게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영향력이 확대할수록 리스크도 커진다는 점이다. 앞서 말했듯 현재 시스템 반도체 산업에서 ARM 설계도를 기반으로 만드는 반도체는 60~70%에 달한다. 이를 뒤집어 말하면 ARM이 서비스를 중단할 경우 전체의 60~70%에 해당하는 반도체를 설계할 수 없다는 얘기다.

 

또는 ARM이 갑자기 라이선스 비용을 훌쩍 올려 몽니를 부릴 수도 있다. 극단적인 예이긴 하지만 불가능한 가정도 아니다. 실제로 최근 ARM은 ‘ARM 설계도 기반 기술의 사용ㆍ개발 제한’을 이유로 퀄컴을 제소한 바 있다.

 

그럼에도 ARM의 설계도를 포기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반도체 설계도’를 그리는 기초 설계 기술을 축적하는 게 어렵다는 걸 차치하고서도 ‘호환’ 문제가 발목을 잡는다. 이유는 간단하다. 반도체 설계도(아키텍처)는 마치 언어와 같아서다.

 

가령, 10개 반도체 설계기업이 각자의 설계도로 반도체를 만들었다고 치자. 이는 서로 다른 10개국 사람들이 각자의 언어로 소통하는 것과 같다. 각각의 반도체가 탑재된 PCㆍ모바일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그에 맞게 번역을 해야 하는데 이는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그 때문에 필요한 게 공용어다. 현재로선 ARM의 설계도가 공용어의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참고: 현재 ARM의 대안으로 오픈소스 설계도인 RISC-V(리스크파이브)가 떠오르고 있다. 리스크파이브는 오픈소스인 만큼 라이선스 비용이 들지 않고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성능ㆍ검증ㆍ보안 등의 문제가 걸림돌로 남아있다.]

ARM 단독 인수 가능성

이쯤에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보자. 왜 ARM은 누구나 탐을 내지만 아무나 가질 수 없는 걸까. 세계 시장에서 내로라하는 기업들이 ARM을 눈독 들일 만한 이유는 분명하다.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반도체 분야로 사업 다각화를 꾀할 수 있는 데다, 미래 산업을 둘러싼 경쟁에서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어서다.

 

파운드리ㆍ팹리스와의 시너지는 물론 경쟁업체들을 견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우리나라로선 국내 반도체 산업의 약점인 ‘설계 분야’의 빈틈을 메울 수 있는 매력적인 카드다.

 

하지만 ARM이 그림의 떡일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독보적인 설계자산을 보유한 기업이라는 점이 ARM의 시장 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인수를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반도체 설계도 시장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ARM을 특정 기업(특히 반도체ㆍ빅테크 기업)이 소유하게 놔둘 리 없어서다.

 

실제로 지난 2년간 ARM을 인수하기 위해 공을 들인 엔비디아가 실패한 것도 독점 우려와 경쟁기업들의 견제 때문이었다. 최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ARM 인수전에서 한발 물러선 것도 이런 현실적 어려움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ARM의 인수는) 결국 현실 가능성이 없다”면서 “ARM의 설계자산을 독점 소유할 수 있다면 인수하는 의미가 있겠지만 그게 불가능하다면 ARM을 인수할 필요성을 찾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물론 소프트뱅크는 여전히 ARM을 매각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하지만 화제의 중심에 있는 ARM에 남은 M&A 선택지는 많지 않을 듯하다.

 

글 | 고준영 더스쿠프 경영전문기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