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경제 규모 기준 ‘제2 수도’가 부산에서 인천으로 넘어갔다. 지역 경제 규모 지표인 지역내총생산(GRDP) 기준, 2023년 인천은 116조8630억원을 기록했다. 부산은 114조1650억원에 그쳤다. 인천의 GRDP가 부산보다 커진 건 처음이다.
6일 통계청은 2023년 인천과 부산의 GRDP 차이가 2조6980억원이라고 밝혔다. GRDP는 해당 경제구역 내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 가격을 합산한 것으로, 경제 규모를 비교하는 데 활용하는 지표다. 2015년만 해도 부산의 GRDP는 88조7490억원으로, 81조8050억원의 인천보다 약 7조원 컸다. 2023년까지 인천의 GRDP가 42.9% 성장하는 동안 부산은 28.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인천의 경제 규모가 부산보다 커진 이유는 ‘수도권 집중화’ 현상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국 GRDP로 보면 서울 등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50.1%에서 2023년 52.3%로 확대됐다.수도권 집중화는 ‘일자리 지표’에서도 가늠할 수 있다. 최근 부산상공회의소가 금융감독원 공시를 기반으로 조사한 결과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부산 소재 기업은 한 곳도 없었다. 1000대 기업 중엔 31곳이 포함됐는데 같은 해 인천 소재 기업 3곳이 100대 기업, 37곳이 10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것과 비교된다.
임금 격차 역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1월 통계청의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부산의 18살부터 39살까지 청년층 월 평균 임금은 295만원으로 전국 평균인 321만원에 훨씬 못미쳤다. 수도권 334만원에 비해, 39만원이나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