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닝스타 “온스당 1820달러까지 하락”
공급 급증·수요 둔화가 원인
“트럼프 불확실성에 단기 상승”

금가격

 

연일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는 금값에 찬물을 끼얹는 보고서가 나왔다. 미 월가의 투자 리서치 기업 모닝스타가 향후 5년 내 금값이 현재보다 40% 가까이 떨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 3월 30일(현지 시간)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모닝스타는 금 가격이 향후 온스당 1820달러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현재 금값은 온스당 3100달러를 돌파한 상태로 예상대로라면 향후 40% 가까운 하락이 예상되는 셈이다.

 

공급 증가와 수요 둔화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모닝스타 소속 애널리스트 존 밀스는 “지금은 누구나 금광을 파고 싶어 할 정도로 채굴 수익성이 높은 시기”라며 공급 과잉이 금값 하락의 직접적 요인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세계금위원회(WGC)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기준 금광업체의 온스당 수익성은 약 950달러로 2012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호주 등 주요 금 생산국들이 대대적인 신규 금광 개발에 나서면서 중장기적으로 공급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밀스는 “생산량이 지금처럼 늘어나면 금값을 지탱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요 둔화도 금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밀스는 “현재 금값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 정책 등으로 대표되는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안전 자산 선호가 급증하며 강세를 보인다”면서도 “이는 단기적 현상일 뿐 장기적인 수요 흐름은 꺾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는 “WCG가 지난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중앙은행 가운데 약 71%가 향후 1년간 금 보유량을 유지하거나 줄일 계획이라고 답했다”며 “금 수요 둔화가 향후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하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금까지 금값을 떠받치던 중앙은행 수요가 꺾일 조짐을 보인다는 의미다.

 

한편 오는 4 2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국제 금값은 또다시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지난 3 31(현지 시각) AP통신 등에 따르면 뉴욕시장에서 현물 가격은 한때 온스당 3160달러( 466 )까지 오르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1 886달러보다 40% 높은 수준이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