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미국 조선업을 재건하고 중국의 해양 패권을 저지하기 위한 행정명령을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이같은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우리는 조선에 많은 돈을 쓸 것"이라며 "우리는 아주 많이 뒤처져 있다. 예전엔 하루에 한 척의 배를 만들곤 했지만, 사실상 지금은 1년에 한 척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럴 능력이 있다"고 말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선박 건조부터 미 해군 군사 활동을 지원할 상선(Merchant Marine)을 보유해 해양 패권을 회복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행정명령은 미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의 해양, 물류, 조선 부문에 대한 불공정 표적화 조사에 대한 조치를 지시하는 내용도 포함했다.

 

앞서 USTR은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과 관련한 국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수장으로 있는 정부효율부(DOGE)에 국방부와 국토안보부의 선박 조달 과정을 조사·검토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조선업 재건을 강조해왔다. 그는 지난달 4일 미 연방의회 합동회의 연설에서 "상선과 군함 건조를 포함한 미국 조선업을 부활시키겠다"며 백악관 조선 사무국 설치와 조선업에 대한 특별 세제 혜택 제공 등을 약속했다.

 

이번 행정명령으로 한국 조선업계가 미국과의 협력할 계기가 마련돼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 세계 1위 조선 경쟁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

 

트럼프 대통령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도 전날 통화에서 한미 조선 분야에서의 협력을 언급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