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고(高)관세 정책이 물가 인상과 성장 둔화를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고 경고하면서도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고수했다.
16일(현지 시각) 파월 의장은 일리노이주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까지 발표한 관세 인상 규모가 예상보다 훨씬 크다”며 “관세는 적어도 일시적 물가 인상을 불러올 것이며 그 영향은 지속적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우리는 실업률을 맞추고 물가를 안정시키는 양대 목표가 서로 상충되는 어려운 상황을 직면할 수 있다”며 “만일 그런 일이 일어나면 경제 지표가 각 목표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각 격차가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이 얼마나 다를지 고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준은 최대 고용을 유지하면서도 물가 상승률을 2%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고용과 성장률이 떨어지면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반대로 물가 상승 압력이 발생하면 기준금리를 올려 균형을 맞춘다.
그러나 관세는 물가와 실업률을 동시에 높일 가능성이 크다는 게 파월 의장의 인식이다.
파월 의장은 “우리의 도구(기준금리 변경)는 동시에 두 개(물가 안정과 최대 고용) 중 하나만 할 수 있다”며 “관세가 올해 내내 우리를 목표 달성에서 더 멀어지게 할 것”이라 관측했다.
다만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 조정을 당장은 고려하지 않고 상황을 더 지켜보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현재로서 우리는 어떤 정책 입장을 밝히기보다는 상황이 명확해지기를 기다리는 게 낫다”고 밝혔다.
연준은 관세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지난 3월 19일 기준금리를 동결했는데 시장에서는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연준이 연말까지 금리를 0.25%p(포인트)씩 서너 차례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