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분기 9만6170명 내 집 마련... 전년대비 4.3% ↑
‘정권 바뀌면 집값 뛴다’ 공식 작용하나

 

올해 들어 서울에서만 1만명이 생애 처음으로 내 집 마련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엄사태 여파로 움츠렸던 주택 매수 심리가 다시 살아나는 모습이다. 조기대선을 앞두고 부동산 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부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소유권이전등기(매매) 현황에 따르면, 15일 기준 지난 1분기(1~3월) 집합건물(아파트·빌라·오피스텔 등)을 생애 처음으로 매입한 사람은 총 9만617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9만2204명)보다 4.3% 증가한 수치다.

 

월별로는 1월 2만7992명, 2월 3만3870명, 3월 3만4308명으로 증가세가 지속됐다. 특히 12·3 비상계엄 사태와 대출 규제로 위축됐던 심리가 2월부터 회복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및 번복, 기준금리 인하 등 정책 변화도 주택 구매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4만4907명으로 전체의 46.7%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뒤이어 40대(2만4556명), 50대(1만1785명), 20대(8142명)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 주축 세대가 주택 시장 진입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만1584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1만450명, 인천이 8615명이었다. 수도권 전체 기준으로는 5만649명으로 전체의 절반을 넘어서며 수도권 집중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흐름이 조기대선 이후 집값이 오를 것이란 기대감이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 정권 교체기와 유사한 양상이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국토부 통계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2016 12월부터 2017 2월까지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격 매매지수는 91.8에서 91 하락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 탄핵 인용 결정 이후 5 문재인 대통령 당선까지 지수는 93.4까지 상승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