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G전자 전기차 충전기
LG전자 전기차 충전기

 

LG전자가 전기차 충전기 사업에서 철수한다. 진출 3년만으로,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전기차 충전기 사업을 중단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에 LG전자 에코솔루션(ES) 사업본부 산하 EV충전사업담당 인력을 재배치하고, 2022년 GS그룹과 함께 인수한 제조 자회사 하이비차저를 청산할 계획이다.

 

이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는 “EV충전사업은 지난해 11월 조직개편에서 비즈니스솔루션(BS) 사업본부가 해체되고 신설된 에코솔루션(ES) 사업본부로 이관되면서 사업재편(리밸런싱) 검토 대상이 됐다”며 “매각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사업을 종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2022년 애플망고(현 하이비차저)를 인수한 뒤, 중소기업 스필에서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업을 추가로 사들이며 시장에 진출했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 충전기 시장 성장 가능성을 본 것이다.

 

LG전자는 전기차 충전기 사업을 1조원 이상으로 육성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특히 미국 시장 공략에도 착수, 텍사스주 가전제품 유통센터 거점을 연간 1만2000대 충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제조시설로 전환하기도 했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로 전기차 수요가 급감했다. 여기에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며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보조금 지원을 중단하는 등 악재가 겹쳤다.

 

영향을 피할 수 없게 되고, 실적도 악화되자 LG전자는 사업 종료를 택했다. 실제 하이비차저는 지난해 매출 106억원에, 영업손실이 무려 72억원에 달했다. 2년 연속 대규모 적자를 기록해 지난해 감사보고서는 '의견거절'을 받았다.

 

하이비차저 지분 40%를 보유한 GS그룹도 경영 지속이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 ㈜GS는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통해 하이비차저 지분 가치를 0원으로 처리하며 사실상 청산을 예고했다. 단 GS그룹은 제조업에서 손을 떼지만 GS차지비 중심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은 이어간다.

 

업계 고위 관계자는충전기 제조사업은 대량 생산을 통해 단가를 낮춰야 하기에 '규모의 경제' 무엇보다 중요하다이라며이미 미국, 유럽, 중국의 대형 제조사 경쟁이 치열한 만큼 LG전자가 추가 투자하기보다 철수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분석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