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월 전 한은 전망치 0.2% 하회
탄핵정국·트럼프 관세·산불·공사 중단 등 복합적 요인
한은 연간 성장률 전망치 1.5%에서 큰 폭 내릴 듯
올해 1분기(1∼3월) 한국 경제가 건설·설비투자와 민간소비 등 내수 부진 속에 전분기 보다 뒷걸음쳤다. 작년 1분기 1.3% 성장 이후 4분기 연속 '제로 성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정부와 한은의 정책 대응이 미진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올해 연간 경제 성장률도 한국은행이 당초 예상한 1.5%보다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한은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 전기 대비 -0.2%로 집계됐다고 24일 발표했다. 한은의 지난 2월 공식 전망치 0.2%보다 0.4%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깜짝 성장'(1.3%) 이후 곧바로 2분기 -0.2%까지 떨어졌고, 3분기와 4분기 모두 0.1%에 그치는 등 뚜렷한 반등에 실패하다가 결국 다시 역성장에 빠졌다.
앞서 17일 이미 한은은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그 배경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 미국 관세정책 우려에 따른 3월 중 경제 심리 위축, 역대 최대 산불 피해,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을 거론했다.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오락문화·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으로 직전 분기보다 0.1% 감소했고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이 줄어 0.1% 뒷걸음쳤다.
특히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3.2%나 줄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 위주로 2.1% 축소됐다. 설비투자의 1분기 성장률은 2021년 3분기(-4.9%) 이후 3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수출 역시 화학제품·기계·장비 등이 고전하면서 1.1% 감소했다. 수입도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 중심으로 2.0% 함께 줄었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각 -0.4%포인트, -0.2%포인트로 집계됐다. 소비와 투자를 포함한 전체 내수는 성장률을 0.6%포인트 끌어내렸고, 순수출은 0.3%포인트 끌어올렸다. 수출이 줄었지만, 수입 감소 폭이 더 컸기 때문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