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 500대 기업 중 절반 이상이 자본보다 부채에 의존하는 구조로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효성화학은 유일하게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결산 보고서를 제출한 353개사(금융업 제외)를 분석한 결과 전체의 62.6%에 해당하는 221곳이 부채비율 100%를 초과했다.

 

부채비율은 기업의 총부채를 자본으로 나눈 수치로 100% 이하가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이를 넘길 경우 외부 충격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조사에 따르면 효성화학은 자본 총액 -680억 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있는 유일한 기업이다. 업황 부진과 적자 누적으로 사업부 매각 등 구조조정을 시도했지만 뚜렷한 재무 개선은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500대기업 부채비율 비중

부채비율이 1000%를 넘는 고위험군도 총 5곳에 달했다. 한성자동차(2319.6%), 티웨이항공(1798.9%), 삼성전자서비스(1520.3%), 아시아나항공(1240.8%), 효성화학이다.

 

이 중 한성자동차는 1년 새 부채비율이 930.3%에서 2319.6%로 1389.3%포인트 급등하며 조사대상 중 증가폭 1위를 기록했다. 이어 티웨이항공, 삼성전자서비스, 금호건설, 팜스코, E1 순으로 증가 폭이 컸다.

 

반면, 컬리는 부채비율이 9641.7%포인트 줄어 감소폭 1위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부채비율은 733.6%로 높다. 이는 대규모 증자를 통한 자본 확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이어 신세계건설, CJ CGV, 이마트24, 아시아나항공 등도 부채비율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2023년 자본잠식 상태였던 태영건설은 지난해 720.2%의 부채비율을 기록하며 자본잠식을 벗어났다. 업종별로는 상사 업종의 부채비율이 가장 크게 감소(24.0%p↓)했으며, SK네트웍스가 대표적 사례다.

 

반면, 조선·기계·설비, 지주, 운송, 철강, 석유화학 업종은 오히려 부채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업의 평균 부채비율은 294.3% 여전히 가장 높았으며 한국가스공사는 432.7% 기록했다.CEO스코어는높은 부채비율은 외부 충격에 대한 대응 능력을 화시킬 있어 재무구조 개선과 자본 확충이 시급한 과제라고 분석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