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트램

 

58년 만에 서울을 다시 달리게 될 트램(노면 전차)인 위례선이 막바지 개통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내년 9월 개통을 목표로 위례선 도시철도 건설공사와 차량 시운전 준비에 한창이다. 최근 서울경찰청 교통안전 심의까지 통과해 개통이 한층 가까워졌다.

 

현재 공정률은 88% 수준이다. 트램 차량은 다음 달부터 충북 오송시험선에서 5,000㎞ 예비주행시험을 거치고, 연말에는 위례선 본선에서 종합시험운행에 들어간다. 국토부의 최종 승인을 받으면 실제 승객 탑승이 가능해진다.

 

서울교통공사는 위례선 운영을 위한 자회사를 설립하고, 최근 '위례선 트램 활성화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송파구, 성남시, 하남시 등 위례선 영향권 지역의 교통·관광 여건 분석, 트램 연계 교통 활성화 방안, 해외 사례 검토, 홍보 전략 수립 등의 과업을 수행한다.

 

위례선 트램은 2008년 위례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도입이 확정됐다. 민자사업에서 재정사업으로 전환된 뒤, 2020년 국토부의 기본계획 승인과 함께 2022년 말 착공했다. 당초 올해 9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교통안전 심의 등 절차가 지연되며 1년가량 늦춰졌다.

 

운행 구간은 지하철 5호선 마천역에서 8호선 복정역·남위례역까지 총 5.4㎞다. 정거장 12개, 차량기지 1개소, 전동차 10편성이 투입된다. 차량은 초저상 구조로 노인·장애인 등 교통약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전기선 대신 지붕에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삼는다.

 

운영 기간은 개통 후 5년이며, 운영비는 5년간 1,195억원으로 추산된다. 서울시(60.7%)와 성남시(39.3%)가 거리 비율에 따라 분담한다.

 

서울 트램은 1899 도입돼 1968년까지 70년간 운행됐다. 위례선이 개통하면 58 만에 서울에서 트램이 다시 부활하게 된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