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전자 ‘갤럭시 언팩 2025’
갤Z폴드·플립7, 워치8 등 공개
더 얇고 커피 한 잔보다 가벼워
화면 커지고 배터리 용량도 ↑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이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행사에서 초슬림 대화면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을 공개하고 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이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행사에서 초슬림 대화면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을 공개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역대 가장 얇고 가벼운 폼팩터(형태)에 강력해진 멀티모달 인공지능(AI)을 집약해 폴더블 스마트폰의 새 기준을 제시했다. 두께 9㎜의 벽을 깬 우수한 휴대성을 실현하며 경쟁 폴더블폰 제조사들의 추격을 뿌리칠 기반을 마련했다.

 

삼성전자는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듀갈 그린하우스’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5’에서 ‘갤럭시Z폴드·플립7’, ‘갤럭시 워치8’, ‘갤럭시Z7플립 팬에디션(FE)’ 등 신제품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초슬림 디자인, 고성능, AI 고도화 등 전 분야 걸쳐 혁신을 실현했다. 이번 신제품으로 정체 국면에 접어든 글로벌 폴더블폰 시장을 다시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선두 자리를 굳건히 하겠다는 전략이다. 갤럭시Z 최초로 중저가형 모델인 플립7 FE도 선보여 대중화도 꾀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 사장은 “갤럭시Z 폴드7·플립7은 하드웨어와 AI를 결합해 스마트폰 경험을 재정의한 제품”이라며 “최적화된 손안의 ‘AI 컴패니언’으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갤럭시Z폴드7은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볍다. 접었을 때의 두께가 8.9㎜로 전작보다 3.2㎜ 줄였다. 이는 일반적인 사무용 볼펜 두께와 비슷한 수준이다. 바(bar) 형 폰인 ‘갤럭시S 울트라’와 비슷한 두께이기도 하다. 중국 아너가 ‘세계에서 가장 얇은 폴더블폰’이라며 공개한 ‘매직 V5’(8.8㎜)와 불과 0.1㎜ 차이다. 무게는 215g으로 커피 한 잔보다 가볍다.

‘갤럭시Z폴드7’ 모습.
‘갤럭시Z폴드7’ 모습.

폴드7은 2억 화소 카메라와 전작 대비 11% 넓어진 대화면도 강점이다. 스마트폰의 두뇌 격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퀄컴의 ‘갤럭시용 스냅드래곤8 엘리트’ 칩셋을 채용했다.

 

플립7은 갤럭시 제품 중 가장 얇은 1.25㎜ 슬림 베젤을 탑재해 화면을 넓혔다. 4.1형 커버 스크린 ‘플렉스윈도우’로 화면을 닫은 상태에서도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Z플립 시리즈의 한계로 여겨진 배터리 용량도 4300mAh로 전작보다 300mAh 늘렸다.

 

Z폴드·플립7은 안드로이드16 기반 ‘원 UI 8’과 멀티모달 AI ‘제미나이’를 채용했다. 화면 공유, 실시간 검색, AI 추천뿐 아니라 폴더블폰을 활용해 음성, 영상으로 대화를 할 수 있도록 AI 경험을 직관화했다.

 

이날 함께 공개한 스마트 워치 ‘갤럭시 워치8’은 저속노화 트렌드에 맞춰 헬스케어 기능을 강화했다. ‘혈관 스트레스’, ‘황산화 지수’ 측정 등 고도화된 건강 관리를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폴더블폰 시장이 중국 제조사의 거센 도전과 성장 둔화로 전환점을 맞은 시점에서 이번 신제품으로 ‘퍼스트무버’ 입지를 확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내년으로 예상되는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 출시를 앞두고 선제적인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것으로 풀이된다.

 

사장은폴더블에 최적화된 AI 혁신적 설계로 스마트폰의 기준을 높였다 자신감을 표시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