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라부부 인형
라부부 인형

전 세계 Z세대 사이에서 중국 완구 브랜드 팝마트의 캐릭터 ‘라부부’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열풍이 단순한 유행을 넘어, 불확실한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세대의 심리적 반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16일(현지 시각) “심리학자들이 Z세대 사이에서 확산 중인 ‘라부부’ 수집 열풍을 정서적 갈등이나 불안감의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라부부는 홍콩 출신 아티스트 카싱 렁이 그림책 ‘몬스터’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요정 캐릭터다. 뾰족한 이빨과 복슬한 털이 특징이며, 안에 어떤 종류가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미스터리 박스’ 형태로 판매된다.이 인기는 중국 본토를 넘어 아시아, 북미, 유럽, 중동 등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일본 도쿄 등 주요 도심에서는 매장 오픈 전부터 줄을 서는 풍경이 연출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발리에서는 대기 인파가 몰려 물리적 충돌까지 벌어진 바 있다.

 

유명인들의 소셜미디어(SNS) 노출이 열풍에 한몫 했다. 블랙핑크 리사, 리한나, 두아 리파, 데이비드 베컴 등이 라부부 인형을 공개하면서 브랜드 인지도는 급상승했다. 희귀 제품은 경매 시장에서 고가에 거래되며, 지난달 베이징에서는 일부 라부부 제품이 약 2억 원(15만 달러)에 낙찰되기도 했다.

 

이 같은 인기는 결혼식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최근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한 결혼식에서는 신부가 친구들에게 부케 대신 라부부 인형과 열쇠고리 랜덤 박스를 던지는 장면이 SNS에 공유돼 화제를 모았다. 하객들이 열광하며 장난감을 쟁취하는 이 영상은 수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했다.일부 소비자는 라부부를 단순한 장난감이 아닌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다. 호주 여행 보험사 패스포트카드의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 3명 중 1명은 해외여행 시 라부부 인형 보호를 위해 보험 가입을 고려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같은 소비 열풍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임상심리학자 트레이시 킹은 “이런 소비 패턴은 단순한 취미를 넘어, 번아웃이나 사회적 단절에 대한 심리적 반응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Z세대는 이전 세대처럼 집이나 연금 같은 장기적인 목표보다는, 즉각적이고 통제 가능한 소비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수집품은 ‘소유’와 ‘통제’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심리적 안정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심리학자 다니엘 글레이저 박사도 “Z세대는 팬데믹과 경기침체라는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성인이 세대라며이로 인해 즉각적인 만족을 주는 소비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 설명했다.과도한 수집이 강박으로 이어질 있다는 지적도 있다. 연구심리학자 에마 팔머 쿠퍼 박사는수집이 너무 많은 공간이나 비용을 차지하고, 경쟁을 부추기게 되면 해로울 있다, “이는 감정적인 문제를 회피하려는 심리에서 비롯된 것일 있다 경고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