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6·27 대출 규제를 통해 아파트 수요 억제에 나선 가운데 대출 규제에서 자유로운 오피스텔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오피스텔은 주택이 아닌 비(非)주택으로 분류돼 이번 대출 규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청년·신혼부부 등 1~2인 가구의 실거주 수요뿐만 아니라 비교적 적은 자본으로 임대 수익을 노리는 투자 수요까지 유입될 가능성이 제기된다.21일 한국부동산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6월 기준 전국 오피스텔 임대수익률은 5.55%로 2024년 1월부터 지속 상승하고 있다.
특히 지방 오피스텔의 수익률은 5.97%로 서울(4.94%) 대비 1%포인트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은 40㎡ 이하 소형 오피스텔 기준으로 8.50%에 달했으며 광주(7.36%), 대구(6.89%) 등도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이 같은 수익률은 최근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3.00%)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전세사기 여파로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하고 있고 금리 인하 기대감이 이어지면서 월세 기반 임대 수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유진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에서 “공급 감소와 전세의 월세화가 맞물리며 주택 수요 억제 정책은 월세가격 상승과 비주택(오피스텔) 수요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아파트 실사용 면적과 저평가된 대단지 오피스텔은 실거주 대안으로 재평가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다만 가격 측면에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2022년 7월 이후 2년 가까이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올 상반기 서울 아파트값이 평균 3.41% 상승한 것과 달리, 오피스텔 가격은 같은 기간 변동이 거의 없었다.시장에서는 아파트 수요가 줄어든 것이 아니라 가격 조정을 관망 중이라는 해석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