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협대상 선정 3년여만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기술을 완전히 넘겨받는다. 2022년 10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지 2년10개월 만이다. 이로써 민간 우주개발시대 개막과 함께 미국 스페이스X 같은 ‘한화 K로켓’ 발사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22일 우주항공청 등에 따르면 항우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18일 누리호 기술이전 협상을 타결했다. 기술이전 규모는 약 240억원으로 오는 25일 기술이전 협정 체결식을 할 예정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 등도 참여한다.
누리호는 항우연과 우주항공기업 300여 곳이 2010년부터 2022년까지 공들여 개발한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다. 국비 약 2조원을 투입해 개발했으며 지금까지 세 차례 발사해 두 차례 성공했다.
정부는 누리호 고도화 사업에서 ‘체계종합기업’을 선정해 누리호 기술을 이전하기로 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으로부터 기술을 이전받아 민간 우주산업을 주도하게 된 스페이스X처럼 ‘한국형 스페이스X’를 키운다는 취지였다.
이번 기술이전 협상이 마무리됨에 따라 민간 우주 개발이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본격적인 우주발사체 사업화에 뛰어들 것이라는 기대감에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윤 청장은 “민간으로 기술을 이전한 만큼 누리호의 활용 가능 폭도 훨씬 넓어질 것”이라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위해 협력해 나가야 할 항우연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상호 신뢰를 회복하는 첫걸음을 떼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