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시세
서울 집값 0.12%→0.14%
규제후 6주만에 상승폭 커져

분당 집값 상승률 전국 최대
과천·평촌 등 경기 선호지 쑥

 

6·27 대출 규제 후 6주 만에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다시 확대됐다. 분당과 과천 등 경기권 선호 지역 집값 상승률은 한층 더 가파른 상황이다. 규제 약발이 서서히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의 공급 대책 발표가 늦어지는 것도 불안을 키우는 요소다.

 

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첫째주(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0.14% 오르며 전주(0.12%)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6·27 대출 규제 후 5주 연속 꺾이던 서울 집값 상승률이 소폭이나마 다시 올라 주목된다.

 

구체적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16개 구의 집값 상승률이 확대됐다. 마포구(0.11%→0.14%), 용산구(0.17%→0.22%), 성동구(0.22%→0.33%), 광진구(0.17%→0.24%), 강동구(0.07%→0.14%) 등이다.

경기 성남시 분당 일대 아파트 전경.
경기 성남시 분당 일대 아파트 전경.

‘준강남’으로 불리는 경기 성남시 분당 집값은 이번주 0.47% 오르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주(0.25%)보다 상승 폭이 더욱 커졌다. 일례로 분당 상록마을 우성1차 전용면적 84㎡(9층)는 지난달 22일 20억75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분당 느티마을 3단지 전용면적 67㎡(4층)도 같은달 19억2000만원에 최고가 거래됐다.

 

평촌신도시가 있는 안양 동안구(0.19%→0.26%), 강남권 접근성이 좋은 과천(0.29%→0.34%), 하남(0.02%→0.17%) 집값 상승률이 뛴 것도 주목된다. 동안구 호계동의 샘마을쌍용 전용 132㎡(18층)는 지난달 19일 11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지난 5월 직전 거래보다 6000만원 오른 거래다. 분당과 평촌은 1기 신도시 재건축 2차 지구 선정을 앞두고 있다.

아파트값 변동률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상승 폭 확대 지역에 대해 “10억~20억원대 아파트가 많은 곳들”이라며 “대출이 6억원까진 나오기 때문에 규제 이후 관망하던 실수요자들이 아주 조금씩 움직이는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매도 가격이 내려가지 않는 데다 연말에 은행권 대출 한도가 소진될 걸 고려해 미리 움직이는 수요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강남 3구 중에선 강남구(0.11%→0.15%)만 전주 대비 상승 폭이 커졌다. 서초구(0.21%→0.16%), 송파구(0.41%→0.38%) 아파트값 상승 폭은 축소됐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강남 3구엔 30억원 이상 초고가 단지가 몰려 있어 여전히 대출 규제가 부담스러운 것”이라며 “오히려 10억~20억원대 재건축 단지에 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국부동산원 역시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전반적인 수요는 위축됐다”면서도 “재건축 이슈 단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있다. 상승 거래도 체결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집값이 여전히 불안정한 가운데 빠르면 이달 예상됐던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은 발표가 늦어지고 있다. 정부는 도심 유휴 용지를 활용한 주택 공급 확대, 재건축·재개발 사업 인허가 단축 등에 대해 고려하는 상황이다. 다만 역대 정부들이 공급 대책을 반복적으로 발표한 만큼새로운 카드 많지 않아 고민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