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시세
서울 집값 0.12%→0.14%
규제후 6주만에 상승폭 커져
분당 집값 상승률 전국 최대
과천·평촌 등 경기 선호지 쑥
6·27 대출 규제 후 6주 만에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다시 확대됐다. 분당과 과천 등 경기권 선호 지역 집값 상승률은 한층 더 가파른 상황이다. 규제 약발이 서서히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의 공급 대책 발표가 늦어지는 것도 불안을 키우는 요소다.
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첫째주(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0.14% 오르며 전주(0.12%)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6·27 대출 규제 후 5주 연속 꺾이던 서울 집값 상승률이 소폭이나마 다시 올라 주목된다.
구체적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16개 구의 집값 상승률이 확대됐다. 마포구(0.11%→0.14%), 용산구(0.17%→0.22%), 성동구(0.22%→0.33%), 광진구(0.17%→0.24%), 강동구(0.07%→0.14%) 등이다.
‘준강남’으로 불리는 경기 성남시 분당 집값은 이번주 0.47% 오르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주(0.25%)보다 상승 폭이 더욱 커졌다. 일례로 분당 상록마을 우성1차 전용면적 84㎡(9층)는 지난달 22일 20억75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분당 느티마을 3단지 전용면적 67㎡(4층)도 같은달 19억2000만원에 최고가 거래됐다.
평촌신도시가 있는 안양 동안구(0.19%→0.26%), 강남권 접근성이 좋은 과천(0.29%→0.34%), 하남(0.02%→0.17%) 집값 상승률이 뛴 것도 주목된다. 동안구 호계동의 샘마을쌍용 전용 132㎡(18층)는 지난달 19일 11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지난 5월 직전 거래보다 6000만원 오른 거래다. 분당과 평촌은 1기 신도시 재건축 2차 지구 선정을 앞두고 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상승 폭 확대 지역에 대해 “10억~20억원대 아파트가 많은 곳들”이라며 “대출이 6억원까진 나오기 때문에 규제 이후 관망하던 실수요자들이 아주 조금씩 움직이는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매도 가격이 내려가지 않는 데다 연말에 은행권 대출 한도가 소진될 걸 고려해 미리 움직이는 수요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강남 3구 중에선 강남구(0.11%→0.15%)만 전주 대비 상승 폭이 커졌다. 서초구(0.21%→0.16%), 송파구(0.41%→0.38%) 아파트값 상승 폭은 축소됐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강남 3구엔 30억원 이상 초고가 단지가 몰려 있어 여전히 대출 규제가 부담스러운 것”이라며 “오히려 10억~20억원대 재건축 단지에 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국부동산원 역시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전반적인 수요는 위축됐다”면서도 “재건축 이슈 단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있다. 상승 거래도 체결되며 지난주 대비 상승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집값이 여전히 불안정한 가운데 빠르면 이달 초 예상됐던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은 발표가 늦어지고 있다. 정부는 도심 내 유휴 용지를 활용한 주택 공급 확대, 재건축·재개발 사업 인허가 단축 등에 대해 고려하는 상황이다. 다만 역대 정부들이 공급 대책을 반복적으로 발표한 만큼 ‘새로운 카드’가 많지 않아 고민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