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달 5곳 문 닫아…10개 점포, 내년 5월 폐점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15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문을 닫습니다. 수원 원천·대구 동촌·부산 장림·울산 북구·인천 계산 등 5개 점포는 오는 11월 16일 문을 닫게 됩니다.

 

이들 점포는 임대료 조정 협상이 결렬되면서 홈플러스가 폐점이 결정된 곳들이며, 다른 10개 점포는 내년 5월까지 순차적으로 폐점하기로 했습니다.

 

홈플러스는 오는 11월 16일 5개 점포를 폐점하기로 하고 직영 직원 468명을 대상으로 전환 배치 면담을 진행 중이라고 31일 밝혔습니다.

 

지난 3월 회생 절차를 개시한 홈플러스는 임대 점포 68개의 임대주를 상대로 진행한 임대료 인하 협상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15개 점포를 폐점하기로 했습니다.

 

홈플러스 측은 "5개 점포 폐점 결정은 연말 영업 차질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회생절차 일정을 고려한 조치"라며 "조정이 결렬된 나머지 10개 점포도 내년 5월까지 순차적으로 문을 닫기로 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오는 11월 16일 문을 닫는 5개 점포의 계약 만료일은 오는 2036년 12월 말입니다. 나머지 10개 점포의 계약 기간도 10년 이상 남았습니다.

 

홈플러스는 그러나 이들 15개 점포는 700억 원이 넘는 임대료를 지불하느라 연간 800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15개 점포에는 채무자회생법에 근거한 해지권을 적용했다"며 "잔여 계약 기간 임대료는 손해배상금으로 청구되고 법원의 판단에 따라 최종 확정된 금액이 회생채권으로 전환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회생 절차에 따른 계약 해지권 적용 시 손해배상금은 일정 부분 감액이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홈플러스 대형마트는 작년 말 126개에서 이날 기준 123개로, 익스프레스(슈퍼마켓)는 308개에서 300개로 줄었습니다. 임대료 조정이 결렬된 15개 점포와 별개로 앞서 폐점이 결정된 9개 점포도 문을 닫고 있습니다.

 

건물주가 재개발 추진 의사를 밝힌 부천상동점은 지난달 31일, 홈플러스가 점포를 매각한 대구 내당점은 지난 13일, 점포 노후화와 영업손실이 누적된 안산선부점은 이날 각각 문을 닫았습니다.

 

동대문점은 올해 하반기, 동청주점은 내년 상반기, 부천소사점은 내년 하반기에 각각 문을 닫습니다. 서울 신내점과 순천풍덕점, 부산 반여점은 오는 2027년 폐점이 예정돼 있습니다. 

 

오는 2027년까지 홈플러스 대형마트 수는 102개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데, 홈플러스는 11개 점포에 재입점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이 역시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홈플러스 점포가 잇달아 문을 닫으면서 해당 상권 소비자들은 불편함과 아쉬움을, 임대 점주들은 막막함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문을 닫는 점포의 홈플러스 직영 직원들은 다른 점포로 근무지를 옮기거나 퇴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지난달과 이달에 각각 문을 닫은 부천상동점과 대구 내당점 직원 27명과 23명도 퇴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점포가 문을 닫으면 임대차 계약 위약금과 매장 원상복구 비용 등의 피해를 노동자와 입점 점주·채권단 모두에게 전가한다"며 "회생법원은 폐점 절차를 중단하고 공정한 회생을 위해 법정관리인(김광일·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을 교체해야 한다"라고 촉구했습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15 폐점 예정 점포 입점주들에게는 원상복구 비용을 면제하기로 하고 우선 5 점포 점주에게 원상복구 면제 방침에 대해 안내했다" "회생계획 인가 M&A(인수합병) 성공해 홈플러스가 회생할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간곡히 요청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