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시장이 지난 10년간 6배 성장했지만 관련 공시 투명성 수준은 해외 국가들에 비해 낮다는 지적이 나온다. 분석이 전문가에 의존해 정보 비대칭성이 높은데, 이해관계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공시사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2일 한국리츠협회에 따르면 국내 리츠 시장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2015년 125개던 운용리츠는 지난 6월 기준 417개로, 10년 만에 3.3배까지 늘었다. 아울러 같은 기간 총자산(AUM)은 18조180억원에서 108조831억원으로 증가해 규모가 6배로 확대됐다.
그러나 확대되고 있는 시장 규모에 비해 관련 공시 체계는 아직 미흡해 투자자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ESG기준원은 지난달 29일 ESG동향 자료를 통해 '국내 리츠 정보 공시 현황 및 과제' 보고서를 공개했다.
문종원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리츠가 여타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에 비해 이해관계자의 정보 비대칭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고 지적했다. 리츠의 투자 대상인 부동산 자산의 가치평가는 감정평가와 같이 전문가의 분석에 의존하고, 또 비정기적이라 시차가 발생해 정확한 가치를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아울러 리츠가 자산관리회사(Asset Management Company, AMC) 등에 운용을 위탁하는 방식을 택할 경우 이해상충 및 대리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충분한 공시를 통한 견제와 감시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해외와 비교해도 국내 공시의 투명도는 낮다. 문 연구원은 "일본, 홍콩, 싱가포르 등은 한국과 비슷한 시기에 리츠 제도를 도입했음에도 공시 항목의 다양성과 그 내용의 구체성 등에서 현저히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리츠 관련 법규와 국토교통부의 리츠 업무매뉴얼에 따르면, 국내 리츠의 공시 사항은 총 18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국내 리츠의 공시 사항들이 사건 발생 이후 일정 기한 내에 공시토록 하고 있고, 내용도 사실 통보나 법적 요건 이행이 중심이 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고 분석했다. 즉 이해관계자들의 투자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기보다 행정 요건 충족에 그친다는 것이다.
이에 공시사항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문 연구원은 "특히 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 과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배당가능이익과 ICR(기업신용평가) 민감도, 자산재평가 결과 등의 핵심 정보가 공시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