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빌라 거래량이 급증하며 다세대 주택 시장에 대한 수요가 치솟고 있다.
지난 7월 서울에서 거래된 빌라는 총 3644건으로 전년 동기 2528건에 비해 44.1% 급증했다.
이는 아파트 대출 규제 강화와 실거주 의무 영향으로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고 가격이 낮은 다세대 주택으로 눈을 돌린 결과로 분석된다.
15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거래량은 2022년 5월 이후 3년 2개월 만의 최다 기록으로 특히 강남구는 거래가 50건에서 123건으로 146% 상승했다. 송파구도 160%, 성동구(132.4%), 용산구(71.6%)등 주요 상급지에서 거래량이 크게 증가했다.
이들 지역의 다세대 주택은 아파트와 달리 ‘2년 실거주 의무가’가 적용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다. 또한 주택담보대출 6억 원 한도 내에서 빌라 거래가 보다 유리한 점도 수요를 이끌고 있다.
서울시 재개발 규제 완화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신통기획, 모아타운 사업 등 서울시의 재개발 사업이 가속화됨에 따라 강남 3구와 주요 상급지의 노후 빌라 선점에 대한 경쟁이 심화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