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소유권 이전을 위한 기본 합의에 도달했다. 이는 틱톡 금지법 유예 시한을 불과 이틀 앞둔 시점에서 이뤄진 진전이다.
AP통신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15일(현지 시각)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미·중 경제무역 협상에서 틱톡 매각과 관련한 기본 협정이 체결됐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협상 직후 기자회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금요일(19일)에 만나 최종 타결 가능성을 논의할 것”이라며 “협상의 목표는 중국 바이트댄스로부터 미국 사업 소유권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중국 상무부 국제무역협상 대표 역시 “양국이 협력적 방식으로 틱톡 문제를 해결하고, 투자 장벽을 낮추며, 경제·무역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기본적 틀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왕징타오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부주임은 “틱톡 알고리즘과 같은 지적재산권 사용 허가에 대한 의견 일치가 있었다”며 “이는 이번 협상의 주요 쟁점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 사용자 데이터와 콘텐츠 보안 권한을 위탁하는 방안에도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중국 기업이라는 점은 오랫동안 미국 내 국가안보 우려의 대상이었다. 특히 중국 정부의 개인정보 탈취나 해킹에 이용될 수 있다는 점,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콘텐츠를 결정하는 틱톡의 독점 알고리즘도 비판의 핵심이었다.현재 미국 내 틱톡 이용자 수는 약 1억 7,000만 명에 달한다. 이에 지난해 4월 미 의회는 '미국인을 해외 적대국이 통제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보호하는 법(PAFACA)'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 법은 바이트댄스가 미국 내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을 경우, 틱톡 서비스를 금지한다는 내용으로 '틱톡 금지법'으로 불린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을 즐겨 쓰는 젊은 지지층을 의식한 듯 틱톡 금지 시한을 세 차례 유예했다. 현재 시한은 오는 17일까지로, 시 주석과의 회담 이틀 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마감일을 직접적 언급하지 않았지만, 양국이 틱톡 관련 합의 확정을 위해 금지령을 무기한 연기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에 “회담이 매우 잘 진행됐다”며 “우리 젊은이들이 꼭 구해내고 싶어 하던 특정 기업과 관련해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당국은 이번 마드리드 협상 전까지 바이트댄스의 지배적 지분을 매각하라는 미국의 요구를 거부해 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 성사를 위해 매각에 동의했다”고 분석했다.한편, CBS는 틱톡 지분을 인수할 유력 기업으로 미국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기업 오라클을 지목했다.
앞서 연초 백악관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머스크가 틱톡을 인수하는 데 열려 있느냐”고 질문하자 엘리슨은 “그가 그것을 사고 싶어 한다면 나도 그럴 것”이라고 답했다. 이에 트럼프는 “당신이 인수했으면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