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상호관세 대응 및 현지 경쟁력 강화 차원, 릴리 CMO 물량도 수주

셀트리온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셀트리온의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이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릴리(이하 릴리)의 미국 뉴저지주 소재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인수한다고 23일 밝혔다. 인수가액은 약 4600억원(3억3000만 달러)이다. 셀트리온은 이밖에 초기 운영비 등에 총 7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할 계획이다.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위치한 이 공장은 약 4만5000평 부지에 생산시설과 물류창고, 기술지원동, 운영동 등 총 4개 건물로 구성됐다. 공장은 바이오 원료의약품(DS) cGMP 생산시설로 지금도 가동 중이라 인수 즉시 운영이 가능하다.셀트리온은 향후 1만1000평 규모 유휴 부지에 생산시설 증설에 추가로 7000억원을 투자하는 등 해당 공장에 총 1조4000억원을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증설을 마치면 미국 현지에서 인천 송도2공장의 1.5배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이로써 셀트리온은 지난 5월 서정진 회장이 직접 공언한 관세대응 계획을 실현하게 됐다. 당시 서 회장은 단기적으로 2년치 재고를 미국에 선제 이전하고 장기적으로 현지 생산공장을 확보해 대응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다.

 

셀트리온은 이번 공장 계약과 함께 릴리로부터 CMO계약도 수주해 해당 공장에서 생산한 원료의약품을 릴리에 공급하게 됐다. 이에 따라 투자금을 조기 회수할 있을 전망이다. 릴리는 인수 공장이 신규 운영체계를 갖출 때까지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셀트리온 관계자는이번 인수로 미국 관세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하게 됐으며 주력 제품의 생산부터 판매까지 일원화된 현지 공급망도 확보하게 됐다공장 효율화와 이관 작업 인수 절차도 조속한 시일 내에 마무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