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 갭투자, 한강벨트 집중
차입금 비중 63%…4.3조원 달해
6·27 규제 후 갭투자 거래 ‘뚝’
전세금을 끼고 집을 매매하는 이른바 ‘갭투자’가 올해 서울에서 3040세대를 중심으로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10월 12일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이 국토교통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지역 갭투자(임대보증금·금융기관대출액·임대 목적) 의심 거래 5673건 중 3040세대 비중이 78%(4430건)에 달했다.
갭투자는 자기자본을 최소화한 매수 방식이다. 실거주보다는 투자 목적이 강해 집값 상승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3040세대가 갭투자로 매매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의 자금 조달 방법을 자기자금과 차입금으로 분류한 결과 자기자금이 2조4800억원, 차입금이 4조2900억원으로 나타났다. 주택 매입자금의 63.4%를 차입금으로 마련한 셈이다. 갭투자 의심 거래 중 차입금 100%로 집을 산 경우도 67건에 달했다.
자기자금 중 부동산 처분대금이 1조204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금융기관 예금액(9442억원), 증여·상속(2399억원), 주식채권 매각대금(2271억원), 현금 등 그 밖의 자금(515억원) 순이다.
3040세대가 갭투자로 집을 매수한 지역은 주로 한강벨트로 분류되는 마포·용산·성동구다. 서울 집값이 급등했던 올해 6월 서울 갭투자 거래 중 30·40대 매수자 비중은 29.1%(1047건)였다. 이중 마포·용산·성동 비중은 48.5%(302건)에 달했다.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시의 아파트 갭투자 거래 건수는 확연히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6월 1366건에 달했던 갭투자 거래 건수는 7월 205건으로 감소했다. 특히 마포·용산·성동은 6월 392건에서 7월 45건으로 90% 가까이 줄었다.
차 의원은 “갭투자 연령대가 30·40대에 쏠려 있다”며 “섣부른 정책이 부동산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