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용 59㎡ 3년 연속 상승률 확대
가구 구조 변화·대출 부담이 원인으로
강남·송파·성동 한강 벨트 중심 상승

서울 강남 압구정 아파트
서울 강남 압구정 아파트

서울의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다. 대출 규제와 가격 상승 여파로 전용 84㎡보다 부담이 적은 중소형 면적을 찾는 수요가 증가하며 가격 상승세도 두드러지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올해 9월 말 기준 서울 전용 59㎡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10억5006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9억7266만원)보다 8%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오름세가 뚜렷했다. 강남구는 전년(17억8706만원) 대비 약 3억원(16.7%) 오른 20억8570만원을 기록하며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어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순이었다.

세부적으로는 강남구 개포동이 22.8%(20억5302만→25억2137만원) 급등하며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삼성동(17.9%), 역삼동(16.5%) 등 강남 주요 동을 중심으로 59㎡ 평균 매매가가 20억원을 훌쩍 넘겼다. 직방 관계자는 “강남구는 대치·개포·압구정 등 고가 단지가 밀집돼 있어 13개 동 중 5개 동의 59㎡ 평균 매매가가 이미 20억원을 돌파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제한적이었다. 도봉구는 1년 새 1.7%(5억3974만→5억4894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중랑구는 5억8722만원으로 지난해(5억8545만원)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금천구(-1.8%), 종로구(-5.5%)는 오히려 하락세를 보였다.

직방에 따르면 서울 전용 59㎡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최근 3년 연속 확대되고 있다. 2023년 9억419만원, 2024년 9억7266만원(7.6%), 2025년 10억5006만원(8.0%)으로 상승세가 가팔라졌다.

반면,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는 상승 폭이 다소 둔화했다. 2023년 11억6597만원, 2024년 12억7591만원, 2025년 13억8086만원으로 꾸준히 오르고 있으나 상승률은 지난해 9.4%에서 올해 8.2%로 줄었다.

이주현 월천재테크 대표는 “6·27 대책 이후 대출 가능 금액이 줄어든 데다 상급지 아파트값이 급등해 자금 부담이 커진 것이 큰 원인”이라며 “주거 면적을 줄여서라도 상급지 ‘똘똘한 한 채’를 보유하려는 수요자 의지가 강하게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팀장은 국민평형 가격 상승과 함께 가구 형태 변화, 설계 기술 발전도 소형 아파트값 급등 원인으로 꼽았다. 양 팀장은 “1~3인 가구가 늘어나는 가운데 자금 부족한 실수요자에게는 전용 84㎡보다 전용 59㎡가 현실적인 선택지로 자리잡았다”며 “최근 지어진 전용 59㎡에는 발코니 등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서비스 면적이 많아 중소형 아파트 실사용 면적이 넓어졌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