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 공장에 엔비디아 GPU 5만개 투입
엔비디아 “HBM4 핵심 공급 협력”
삼성 "파운드리 서비스까지 공급"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그래픽카드(GPU) '지포스' 출시 25주년 행사에 참석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그래픽카드(GPU) '지포스' 출시 25주년 행사에 참석했다.

 

삼성전자가 미국 최대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이어 엔비디아와 GPU 5만개 이상을 도입해 AI 팩토리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삼성전자는 31일 엔비디아에 5세대 HBM3E, 6세대 HBM4, 고성능 그래픽 D램(GDDR7), 저전력 메모리 모듈과 파운드리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HBM3E에 이어 HBM4까지 공급이 사실상 확실하다고 내비친 것이다. 삼성전자의 아픈 손가락이었던 HBM이 가장 큰 고객사를 맞이했고, 파운드리 사업 역시 테슬라, 애플에 이어 엔비디아 칩까지 수주하며 반전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삼성전자 HBM4는 1c(10나노급 6세대) D램 기반에 4나노 로직 공정을 적용하고 설계를 최적화해 JEDEC 표준(8Gbps) 및 고객 요구를 상회하는 11Gbps 이상의 성능을 구현했다고 밝혔다.삼성전자 HBM4는 초고대역폭과 저전력 특성을 바탕으로 AI 모델 학습과 추론 속도를 높여 엔비디아의 AI 플랫폼 성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전 고객사에 HBM3E를 공급하고 있으며, HBM4도 샘플을 요청한 모든 고객사에 샘플 출하를 완료한 뒤 고객사 일정에 맞춰 양산 출하를 준비하고 있다. HBM4 수요가 급증한 만큼 설비투자도 단행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HBM 외에도 업계 최초로 개발한 고성능 그래픽 D램(GDDR7)과 차세대 저전력 메모리 모듈 SOCAMM2 공급도 협의 중이다.

 

엔비디아 GPU 5만장 도입해 AI 팩토리 구축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0일 서울 삼성동 한 치킨집에서 치맥회동을 하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러브샷을 하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30일 서울 삼성동 한 치킨집에서 치맥회동을 하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러브샷을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31일 엔비디아와 전략적 협력을 기반으로 반도체 제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GPU 기반 AI 기술의 시너지를 활용해 업계 최대 수준을 갖춘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삼성전자는 이에 필요한 엔비디아 GPU 5만개 이상을 수년간 도입하기로 했다. 또 엔비디아의 시뮬레이션 라이브러리 옴니버스 기반 디지털 트윈 제조 환경 구현을 가속한다.

 

삼성전자가 추진하는 AI 팩토리는 설계, 공정, 운영, 장비, 품질관리 등 반도체 설계·생산을 아우르는 모든 과정에 AI를 적용한다. 스스로 분석·예측·제어할 수 있는 제조 시스템이 구현되는 스마트 공장이란 설명이다. 이 때문에 차세대 반도체 개발·양산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 제조 효율성, 품질 경쟁력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삼성전자는 AI 팩토리 인프라 구축을 통해 쌓은 역량을 미국 테일러 등 해외 주요 생산 거점에서도 활용할 계획이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전반에 걸쳐 지능화·효율화를 완성하겠다는 목표다.'30년 동맹 결실' 휴머노이드 로봇도 손잡는다또 삼성전자는 인공지능 모델과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분야에서도 엔비디아와의 협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메가트론’ 프레임워크, ‘알티엑스(RTX) 프로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지능형 로봇을 연구하고 있다. 이는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기반으로 실시간 번역, 다국어 대화, 지능형 요약 등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다양한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가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제 로봇 데이터를 연결해, 현실 세계를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작동할 수 있는 로봇 플랫폼도 구현하고 있다.한편 삼성전자와 엔비디아는 30년 가까운 협력관계를 이어왔다. 양사의 오랜 협력 스토리가 AI 시대에 동반자로서 신뢰 구축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전날 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지포스(GeForce ) 게이머 페스티벌' 무대에 올라 "1996년 한국으로부터 한 통의 편지를 받았다"며 고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 회장과 인연을 소개하기도 했다.

 

당시 이건희 회장은 직접 젠슨 황에게 편지를 한국으로 초대했다. 젠슨 황은 편지를 소개한 "한국은 엔비디아의 심장부에 있고 여러분은 엔비디아의 '시작(origins )' 자리하고 있다" "여러분 덕분에 엔비디아가 존재할 있었다" 말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