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달 국내 주식시장의 신용융자 잔고가 25조5000억 원까지 늘어나 이른바 '빚투', 즉 빚을 내서 투자하는 행위가 사상 최대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투자자들은 반도체·자본재 등 수익률이 높았던 종목을 신용으로 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금융연구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최근 유가증권시장 신용융자 증가의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국내 주식시장의 신용융자잔고는 25조5000억 원으로, 과거 최대치(2021년 9월 13일·25조7000억 원)에 근접했다. 특히 코스피가 상승하면서 유가증권시장 신용융자잔고는 15조8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최근 빚투 증가세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개인 투자자의 일반 현금매수와 신용매수가 엇갈리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4월부터 10월 말까지 개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현금매수로는 대규모 순매도를 이어갔지만, 신용매수는 오히려 늘렸다. 지난 2021년 개인 투자자들이 현금매수와 신용매수를 동시에 확대하며 주가 상승을 주도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업종별로 보면 개인 투자자들은 10월 말까지 반도체·자본재 등 수익률이 높은 종목을 일반 거래에서 순매도했다. 그러나 신용투자는 이들 종목에 집중되는 등 외국인 순매수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올해 10월 말 결제일 기준 유가증권 신용융자 잔고 중 자본재 비중은 27.7%(3조9000억 원), 반도체는 15.8%(2조2000억 원)에 달했다.

 

이보미 연구위원은 "개인투자자는 시장 조정을 기대하며 그간 상승했던 종목을 순매도하거나 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 투자하는 그룹과, 반도체·자본재 상승에 레버리지(차입) 투자하는 그룹으로 양분된 것으로 보인다" 분석했다. 이어 "신용융자가 자본재·반도체에 집중돼있어 주가 하락 반대매매에 따른 해당 업종 가격 하락이 증폭될 우려가 있다" 경고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