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신용대출 잔액 1주새 1.2조 폭증

주요 은행 마이너스통장 등 신용대출 잔액이 이달 들어 1주일 만에 1조2000억원 가까이 급증했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규제가 강화하면서 부족한 자금을 신용대출로 메우려는 사례가 늘어난 데다 코스피가 사상 처음 4200선을 돌파하자 개인투자자들의 ‘빚투(빚내서 투자)’ 열기가 한층 뜨거워진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7일 기준 가계신용대출 잔액은 105조9137억원으로 집계됐다.10월 말(104조7330억원)과 비교해 1조1807억원 늘었다. 불과 1주일 만에 10월 한 달 증가폭(9251억원)을 뛰어넘은 것이다. 변동성이 큰 신용대출 잔액이지만 이달 7일까지의 증가 규모만으로 2021년 7월(1조8637억원) 이후 약 4년 4개월 만에 최대치다.
대출 종류별로 보면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1조659억원 증가했고 일반신용대출이 1148억원 늘었다.
신용대출 급증세는 개인들의 주식 투자 확대와 맞물려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7조2638억원을 순매도했지만 개인은 7조4433억원을 순매수하며 이를 거의 그대로 받아냈다. 코스피지수가 이달 초 42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 랠리를 이어가다가 인공지능(AI) 업종 과대평가 우려로 급락했지만 개인투자자들은 순매수를 이어간 것이다.특히 코스피가 장중 6% 넘게 밀리면서 3800대까지 떨어졌던 지난 5일에는 하루 새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6238억원이나 급증했다.
지수가 급등할 때 포모(FOMO·소외 공포)를 느꼈던 투자자들이 변동성 확대 국면을 ‘저가 매수’ 기회로 보고 주식을 사들인 것으로 추정된다.
대표적인 빚투 지표인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6조2165억원으로 집계됐다. 5일에 지난 2021년 9월 이후 약 4년 만에 최대를 기록한 데 이어 사흘 연속 최대치를 경신했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로부터 보유한 주식 등을 담보로 자금을 빌린 뒤 아직 갚지 않은 금액을 의미한다.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외국인 매수세가 개인투자자가 신용으로 투자한 업종의 주가 상승을 이끌었기 때문에 환율 변동이나 대외 환경 변화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면 해당 종목의 급락과 함께 신용투자 손실이 커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최근 유가증권시장 신용융자 증가의 시사점).
다만 “올해는 2021년과 달리 개인투자자의 신용투자와 일반투자가 구분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자본재나 반도체 등 일부 업종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개인투자자 전체로의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