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민관 합동회의 개최…재계 총수들 참석
삼성·SK·현대차·LG·HD·셀트리온 833조 국내 투자
재계가 국내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한다. 관세 협상에 따른 대미 투자 확대가 예정돼 있는 가운데, 국내 투자 위축이라는 부작용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 더해 정부가 관세 협상을 위해 노력한 만큼 민간 역시 적극적으로 이러한 움직임에 화답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는 평가도 나온다.

대통령실은 지난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관세 협상 관련 팩트시트 도출 이후 후속 논의를 위한 민관 합동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 부회장이 참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정부는 기업인들이 기업 활동을 하는 데 장애가 최소화되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나 대미 투자가 너무 강화되면서 국내 투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라는 걱정을 한다"고 말했다. 재계 총수들은 대규모 국내 투자 방안을 추진,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겠다고 답했다.
먼저 삼성은 향후 5년간 연구·개발(R&D)를 포함 총 450조원의 투자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주요 계열사들이 추가 사업장을 해외가 아닌 국내에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삼성전자는 평택사업장 2단지 내 5라인을 조성하고, 올해 인수한 공조기기 업체 플랙트의 국내 생산라인을 광주광역시에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삼성SDS는 전남과 구미, 삼성SDI는 울산, 삼성전기는 부산 등의 설비 및 투자 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국내 산업투자 관련 우려가 있으나 그런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며 "지난 9월 약속한대로 향후 5년간 매년 6만명씩 국내에서 고용하고 국내 시설 투자도 더욱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고 전했다.
SK그룹은 애초 계획했던 2028년까지 128조원의 투자를 차질없이 진행하겠다는 점을 다시금 확인했다. 다만 최근 메모리반도체 수요 폭증으로 인해 용인반도체 클러스터에는 추가 투자가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SK그룹은 용인반도체 클러스터에만 약 600조원의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용인반도체 클러스터의 제조 시설(팹) 1기당 1만4000명에서 2만명의 직·간접적 고용효과가 생길 수 있는 등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기여할 수 있다는 게 SK그룹 측의 관측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028년까지 128조원의 국내 투자를 계획했으나 점점 투자 예상 비용이 늘어나고 있다"라며 "정확하게 추산하기 어려우나 용인에 약 6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어진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총 125조원의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기로 했다. 2030년까지 향후 5년동안 연간 25조원씩 추가로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미국 관세 15%로 수출 감소와 국내 생산 위축에 대한 우려를 알고 있다"라며 "수출 지역 다변화 추진, 국내 공장 완성차 수출 확대, 국내 전기차 전용 공장 신설을 통한 자동차 차량 수출을 2030년까지 현재 대비 두배 이상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LG그룹은 2030년까지 100조원의 투자 계획을 약속했고 HD현대는 15조원, 한화그룹은 11조원을 투자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은 약 4조원의 투자 방침을 밝혔다.
재계의 투자 확대에 이재명 대통령은 적극적인 규제 완화를 통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정부는 기업 활동을 하는 데 장애가 최소화되도록 총력을 다할 생각"이라며 "규제 완화나 해제, 철폐 중 가능한 것이 어떤 것이 있을지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지적해 주시면 신속하게 정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