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 정부, 日여행 자제령에
취소 49만건…한국行 기대
국내 항공사 속속 노선 증편
10월 한·중 여객 22.4% 급증
증권가 "대형사 중심 수혜"

 

중국 정부가 일본 여행을 사실상 제한하는 '한일령(限日令)'을 내리자 국내 항공업계가 반사이익을 기대하며 유커(중국 관광객) 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2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주요 국내 항공사들은 한일령이 올해 3분기 실적 부진을 극복할 뜻밖의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며 중국 노선 확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일본 여행 자제 권고가 장기화하면 한국으로 수요가 일부 전환될 가능성이 크다"며 "중국 노선 확대로 3분기 실적 쇼크를 일부 상쇄하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2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 당시 방일 중국인이 7.8% 감소한 반면, 한국 관광·면세 산업은 중국인 방한객 증가로 반사이익을 얻은 바 있다.

 

한중 여객 수요는 양국 관광객 무비자 적용 등을 계기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항공통계에 따르면 올해 10월 한중 노선 운항 편수는 1만618편으로 지난해 같은 달(1만156편) 대비 4.5% 증가했다. 여객 수는 153만8109명으로 전년 동기(125만6392명) 대비 22.4% 급증했다.

 

항공사들도 중국 노선 확대에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중국 노선은 일본 노선보다 비행 거리가 길어 운임이 높고, 면세 쇼핑 수요도 많아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대한항공은 이달부터 인천~푸저우 노선을 주 3회에서 주 4회로 증편했다.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3월 전체 중국 노선 운항을 주 165회까지 확대해 기존 대비 20% 증편할 계획이다.

 

저비용항공사(LCC)들도 중국 노선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제주항공은 올해 1~10월 중국 노선 탑승객이 49만5000명으로 작년 한 해 수준을 이미 넘어섰다. 티웨이항공도 인천~우한, 대구~장자제 등 지방공항 중심으로 중국 소도시 노선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발언 이후 일본 여행 자제를 권고했다. 에어차이나·중국남방항공·중국동방항공 등 주요 항공사들은 일본행 항공권 취소·변경 수수료를 오는 12월 31일까지 면제하기로 했다. 지난 15일 이후 중국 항공사에서 발생한 일본행 항공권 취소는 약 49만1000건으로 추산된다.

 

증권가는 한일령 반사이익이 LCC보다는 대한항공, 아시아나 대형 항공사(FSC) 중심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베이징·상하이 주요 노선의 운수권은 대형 항공사들이 과점하고 있다" 분석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