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K가스
 울산GPS 건설현장 르포
인근 LPG·LNG 저장 인프라 활용
복합 연료로 에너지 변동성 대응

최근 핵심 기기인 터빈 3개 설치
내년 8월부터 본격 상업가동 예정
280만가구 1년치 전력 생산 가능

지난 26일 방문한 SK가스 울산GPS 공사 현장. 가스터빈과 스팀터빈이 설치된 구조물이 한창 지어지고 있다.

울산 남구에 위치한 SK가스의 GPS(Gas Power Solution) 공사 현장.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두 개의 거대한 주황색 송전탑이 한 눈에 들어왔다.

 

내년 하반기 울산 GPS가 완공되면 여기서 생산되는 전력이 바로 이 송전탑을 통해 인근 변전소로 보내진다.

 

지난 26일 찾은 울산 GPS 현장에서는 1000여명의 인력이 건설 작업에 참여하고 있었다. SK가스가 총 1조4000억원을 투입해 건설하고 있는 울산 GPS는 세계 최초로 액화천연가스(LNG)·액화석유가스(LPG)를 모두 연료로 쓸 수 있는 복합발전소다.

 

약 14만㎡(약 4만2000평) 규모에 들어서는 이 복합발전소는 이달 공정률이 78%에 도달했다.

내년 초 시운전을, 이어 8월께 상업 가동에 들어갈 발전소의 연간 전력 생산량은 860만 메가와트시(MWh) 규모다. 이는 280만여 가구가 1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2025년 울산의 총 가구수는 약 45만 가구로 예상되는데, 울산 전체 가구의 6배 이상이 쓸 수 있는 규모다.

 

조승호 울산 GPS 대표는 “이 발전소는 LNG와 LPG를 겸용할 수 있어 두 연료의 시장 가격 상황에 따라 투입량을 조정할 수 있다”며 “이는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게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LNG가 비쌀 때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LPG 투입을 늘리고, LPG가 비쌀 땐 LNG를 활용해 에너지 변동성에 적극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 수소 혼소도 30%까지 가능해 수소 시대에 대한 준비도 나서고 있다.

 

SK가스가 두 연료를 용이하게 쓸 수 있는 배경은 바로 SK가스가 울산에 구축한 인프라 덕분이다.

SK가스는 인근에 LPG 27만t을 보유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저장 기지를 두고 있다.

또 인근 코리아에너지터미널(KET)에는 21만5000㎘ 규모의 LNG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 3개가 건설 중이다.

발전소에서 저장 기지와의 거리가 모두 4~5㎞이내로, 운송이 쉽고 운송 중 자연 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울산 국가산업단지라는 대규모 전력 수요도 배후에 두고 있다.

 

최근 울산GPS는 전력 생산의 핵심 장비로 ‘발전소의 심장’인 가스터빈(410.5MW) 2개와 스팀터빈(406MW) 1개에 대한 설치를 마쳤다.

 

가스터빈과 스팀터빈의 직경은 각각 4.8m와 5.4m, 무게는 250t~380t로 대당 가격이 1000억원을 오간다. LNG와 LPG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가스터빈을 통해 1차로 전력을 생산한다.

 

또 여기서 발생한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열회수보일러에 투입해 물을 끓이면 고온· 고압의 증기가 발생해 스팀터빈을 가동하는데 여기서도 전기를 추가 생산할 수 있다.

윤병석 SK가스 사장이 26일 울산 롯데호텔에서 울산 GPS가 구현할 SK가스의 파이낸셜 스토리에 대해 직접 설명했다.
윤병석  SK가스  사장이 26일 울산 롯데호텔에서 울산 GPS가 구현할  SK가스 의 파이낸셜 스토리에 대해 직접 설명했다.

이날 오후 윤병석 SK가스 사장은 울산 롯데호텔에서 ‘SK가스의 비즈니스 시프트 스토리 2.0’도 직접 발표했다. 비즈니스 시프트 1.0(2012~2020년)은 LPG 포트폴리오를 민수용에서 산업용 등으로 다각화한 모델이다. 비즈니스 시프트 2.0는 LNG·LPG 복합발전소인 울산 GPS를 국내 뿐 아니라 해외로 확장시키는게 핵심이다. SK가스는 비즈니스 시프트 2.0 실현을 위해 2026년까지 총 2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윤병석 사장은 “울산 모델은 SK와 고객사를 넘어 국가적으로 에너지 안정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 향후 신재생 에너지 비중이 커졌을 때 변동성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