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이 기존 1.8%에서 0.3%포인트(p) 하향조정된 1.5%로 전망됐다. 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기존 예상치보다 더 빠르게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11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23년 상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2월 예상한 1.8%보다 0.3%포인트 낮춘 수치이며, 정부와 한국은행의 전망치인 1.6%보다도 낮은 수치다.

 

KDI는 ‘수출 위축에 따른 경기 부진의 지속’을 하향 조정의 근거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교역량이 감소하고,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 부진이 완화하고, 서비스업 생산이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고용시장은 양호한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KDI는 올해 하반기부터는 중국 경제 회복에 따른 파급효과와 반도체 수출 부진 완화로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2023년 상반기에는 수출 부진으로 0.9% 성장에 그친 반면, 하반기에는 중국 경제 회복에 따른 영향과 반도체 부진 완화로 2.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이어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는 2.3%를 내놨다. 대외 수요가 회복되고, 수출이 다시 반등하면서 내년 하반기에는 거시 경제가 정상적인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KDI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4%로 전망했다. 지난 2월(3.5%)에 비해 소폭 낮아진 수치다. 이 같은 전망을 내놓은 근거에 대해 KDI는 수입 물가가 하락세로 전환한 것을 시작으로 공급자 측 물가 압력이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4%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KDI는 반도체 수요 회복 시기와 중국 경제 회복의 파급 정도 등 변수가 많다고 전했다.

 

하반기 반도체 수요 회복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한국 경제 성장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뜻이다. 현재까지 반도체 시장은 올해 2·3분기에 저점을 기록한 뒤 반등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은 편이다. 아울러 중국의 경제회복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이뤄질 경우 국내 경기 회복에 끼치는 영향이 매우 적다. 때문에 중국 경제가 어떤 산업을 중심으로, 어느정도 회복되는 지 역시 중요한 변수다.

 

이밖에도 KDI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 악화로 인한 에너지 가격 급등, ▲고금리 지속에 따른 금융시장의 불안 등이 한국 경제에 변수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