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K패스’…최대 53% 할인
국민·하나·롯데 통신비 특화카드로 月 최대 2만5천원 아껴

신용카드
신용카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이 롱텀에볼루션(LTE)에서 5G로 전환되면서 다달이 나가는 통신비 부담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교통비 역시 매달 많게는 10만원 단위로 빠지는 만큼 사회초년생에겐 부담이란 평이 나온다. 이에 줄이기 쉽지 않은 고정 지출항목인 교통·통신비를 아낄 수 있는 카드에 금융소비자들의 관심이 쏠린다.

 

9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은 정부의 교통 지원 정책인 ‘K패스’ 전용 특화카드를 발급받는 게 이득이다.

 

K패스는 전국의 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광역급행철도(GTX) 월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내달 돌려받는 서비스다. 환급 혜택은 월 최대 60회까지 받을 수 있으며, 1일 2회로 제한된다.

 

지난 1월부터 일반(20%), 청년(30%), 저소득(53.3%) 유형에 추가적으로 다자녀 가구 유형(2자녀 30%·3자녀 이상 50%)을 신설해 별도의 환급률을 적용하고 있다.

 

K패스 카드를 발급하는 카드사는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이동의 즐거움, DGB유페이, 티머니 등 11곳이다. 이들은 각기 다른 추가 할인 제도를 내세우며 고객 유치 경쟁에 나섰다. 월 대중교통 이용 비용의 환급 비율(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에 추가로 할인율을 더해주는 식이다.

 

K패스 카드는 고물가에 지친 소비자들의 이목을 단번에 끌며 지난해 4월 출시 후 10개월 만에 이용자수 300만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K-패스 이용자들은 월 평균 대중교통비 6만8000원 중 1만8000원을 환급(26.6%)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년층과 저소득층의 경우 월 평균 각각 2만원, 3만7000원을 환급받아 대중교통비 부담 완화에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간혹 카드를 발급받고도 전용앱을 설치하지 않아 환급 혜택을 못 받는 사람들이 있다. K패스 카드 발급 시 전용앱을 설치해야 환급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적용된다는 점을 유의해야한다.

최근 통신비 할인 카드에 대한 서민들의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최근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LTE 요금제의 절반 이상을 정리하고 있어, 이제 5G 요금제를 선택하지 않을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 최대 신용카드 플랫폼 카드고릴라는 달마다 1만~2만5000원가량 통신비를 할인 받을 수 있는 카드를 엄선해 공개했다.

 

KB국민카드의 ‘Easy ring 티타늄카드’는 통신비를 이 카드로 자동이체 설정 시 통신요금 1만원당 1500원을 할인해준다. 예를 들어 이달 통신비가 7만원이 나왔다고 가정했을 때, 이용자는 1500x7=1만500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할인 받은 결제 건도 실적으로 인정된다.

 

이 카드는 전월실적 금액 조건이 50만원 이상으로, 비싼 요금제를 쓰면서 한 달에 50만원~150만원 이상 신용카드를 쓰는 사람에게 적합하단 평이다. 연회비는 국내외용 모두 3만원이다.

 

하나카드의 ‘더 심플 하나카드’는 통신비뿐만 아니라 렌탈, OTT 구독료 등을 자동이체할 시 월납요금을 할인해 주는 신용카드다. 전월실적 30만원 이상 시 통합할인 1만원, 전월실적 80만원 이상 시 1만5000원을 할인해준다. 그 외 혜택은 없기 때문에 월 카드사용액이 30만~80만원이고 ‘통신비’만 할인 받으려는 사람에게 유용한 카드다. 연회비는 국내외용 모두 2만5000원이다.

 

체크카드로 혜택을 받고 싶다면 하나카드의 ‘더 심플 체크카드’ 선택지도 있다. 한 달에 통신비 1만원 이상 자동이체 한다면 5000원을 캐시백으로 돌려주는 체크카드다. 다만 전월실적 조건 금액이 30만원 이상으로 체크카드치고는 높은 편임을 유의해야한다.

 

롯데카드의 ‘모바일엔디지로카’는 이동통신요금을 전월실적 40만원 이상일 시 1만8000원, 전월실적 80만원 이상일 시 2만원 할인해준다.

 

, 카드는 발급받고 25개월이 지나면 할인한도가 감소해 사전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카드 발급 2 후부턴 전월실적 별로 각각 40만원 충족 8000, 80만원 충족 1만원 할인으로 줄어든다. 연회비는 국내외용 모두 2만원이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