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의 대형 온라인 쇼핑 플랫폼 테무(Temu)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중 고율 관세 부과 방침에 대응해 최근 미국 소비자에게 최대 145%에 달하는 ‘수입 수수료(import charges)’를 부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현지시간) 미국 방송 CNBC가 지난 주말부터 적용됐다고 이 같이 밝혔다.

 

테무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상품에는 구매자를 대신해 세관 당국에 납부하는 수입 수수료가 포함된다”고 공지했다. 다만 “표시된 금액은 실제 세관 비용과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이에 따라 18.47달러짜리 여름 원피스에는 26.21달러의 수입 수수료가 추가돼 총 44.68달러가 되는 등 실구매가가 크게 뛰었다.

 

12.44달러짜리 아동용 수영복은 수수료 18.68달러로 총 31.12달러, 16.93달러짜리 휴대용 진공청소기는 수수료 포함 40.11달러가 되는 등 대부분 상품이 원가를 훨씬 상회하는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같은 시기 경쟁업체 쉬인(Shein)도 가격을 전반적으로 인상했지만 테무처럼 별도의 수입 수수료를 부과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쉬인은 결제 시 “관세가 가격에 포함돼 있으며 추가 비용은 없다”는 배너를 추가해 소비자 불안을 다소 완화시키려는 모습을 보였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용 및 건강용품 상위 100개 품목의 평균 가격은 하루 만에 51% 상승했으며 키친타월 10개 세트는 1.28달러에서 6.10달러로 무려 377% 급등했다. 가정용품과 장난감은 평균 30% 이상, 여성 의류는 8%가량 가격이 올랐다.

 

이러한 조치는 트럼프 캠프가 오는 5월 2일부터 800달러 이하 수입품에 대해 면세 혜택을 없애고 최대 12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선제적 대응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테무와 쉬인은 이달 초부터 “25일부터 가격이 조정된다 공지를 띄우며, 소비자들에게 조속한 구매를 권장해왔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