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30년간 이어온 휴대폰 사업에 마침표를 찍었다. 오늘(30일)부로 휴대폰 공식 사후서비스(AS)를 종료하며, 사실상 모든 지원이 끝났다. 1995년 첫 휴대폰을 출시한 이래, 옵티머스·G시리즈·벨벳· 윙 등으로 이어졌던 LG 스마트폰은 완전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LG전자는 이날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사후 서비스(AS)를 공식 종료했다. 기존 사용자들은 더 이상 공식 채널을 통해 수리나 소프트웨어 지원을 받을 수 없다. 사설 수리업체를 통한 유지보수도 부품 부족으로 사실상 어려울 전망이다.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도 모바일 운영체제(OS) 업그레이드와 FOTA(무선 업데이트) 서비스가 종료됐다. LG 헬스, 원격 잠금 해제, LG 모바일스위치 등 주요 기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도 지원이 중단되며, 새로운 앱 설치도 불가능해져 기존 LG폰은 더 이상 스마트폰으로서의 실질적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게 됐다.LG전자는 1995년 LG 정보통신 시절부터 휴대폰 사업에 뛰어들었다. ‘초콜릿폰’, ‘프라다폰’ 등으로 시장을 주도한 적도 있다. 그러나 2007년 스마트폰 시대로의 전환 이후 애플과 삼성의 양강 체제를 돌파하지 못했고, 중저가 시장에서는 중국 제조사들의 거센 공세에 밀리며 시장 내 입지를 잃어갔다.
결국 2021년 7월, 사업 철수를 공식화했다. LG전자는 그동안 순차적으로 부품 수급을 중단하고, 전국 주요 지역 서비스센터의 AS 업무를 축소해왔다. 그리고 2025년 6월, AS 종료로 모든 서비스가 막을 내렸다
한때 연간 1억 대 이상 판매고를 올렸던 LG 휴대폰의 국내 사용자는 1%대 수준으로 추정된다. LG전자 스마트폰 점유율은 사업 철수 이후 공식 통계에 거의 집계되지 않고 있다. 다만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지난해 발간한 보고서에서는 2023년 국내 스마트폰 중 2.1%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