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 여권이 전 세계 여권 순위에서 일본과 함께 공동 2위를 차지했다. 한국 여권 소지자는 190개 국가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22일(현지 시각) CNN은 한국 여권은 영국의 국제 시민권 자문업체 헨리앤파트너스가 발표한 ‘헨리 여권 지수’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헨리 여권 지수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199개국 여권 소지자가 사전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는 목적지의 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다.

 

한국은 이번 발표에서 일본과 공동 2위를 기록했다. 무비자 또는 도착 비자로 입국 가능한 국가는 총 190개국이다. 한국은 지난 2020년 1월 3위에 오른 이후 꾸준히 상위권을 유지해왔으며, 작년에도 핀란드·스웨덴과 함께 공동 2위를 기록한 바 있다.이번 지수에서 1위는 싱가포르가 차지했다. 싱가포르 여권으로는 전 세계 193개국에 사전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일본,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등 6개국이 공동 1위였지만, 이번 분기에는 싱가포르가 단독으로 올라섰다.

 

3위는 오스트리아,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페인이 공동으로 올랐다.

 

한편 최하위는 아프가니스탄(99위)으로, 무비자 입국 가능한 국가는 25개국에 불과하다. 시리아(99위, 27개국)와 이라크(97위, 30개국)도 하위권에 머물렀으며, 북한은 93위(40개국)를 기록했다.과거 2014년 여권 파워 1위였던 미국은 지난 분기 9위에서 이번에 10위로 밀려났다. 영국도 5위에서 6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헨리앤파트너스는 이에 대해 “한때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여권으로 꼽히던 두 나라가 장기적인 하락세를 겪고 있다”며, 특히 “미국은 헨리 지수 발표 이후 처음으로 상위 10위권에서 완전히 밀려날 위기에 처했다”고 밝혔다.

 

CNBC 이번 순위와 관련해상위 10개국 대부분은 유럽 국가들이지만, 아시아의 주요 경제 3개국이 선두를 달리고 있다 설명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