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뒤 금리인하 기대감을 키우며 일제히 반등했다.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83.52포인트(1.10%) 오른 4만4,458.6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72.31포인트(1.13%) 상승한 6,445.76에 마감했다. 사상 첫 6,400선 돌파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296.50포인트(1.39%) 뛴 2만1,681.90에 마쳐 역시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날 시장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CPI 지수는 투자자들을 일단 안심시켰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7월 전품목 CPI는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이는 6월의 0.3% 상승보다 0.1%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7% 올라 6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근원 CPI는 전월비 0.3% 상승해 6월의 0.2%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1% 올라 6월의 2.9%에서 상승폭이 더 커졌다.
지표는 엇갈린 신호를 보냈으나 9월 금리인하는 확정적이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매수세가 강하게 유입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4.4%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의 85.9%에서 더 뛰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 인터넷 그룹이 2분기 호실적에 1.27% 상승했다.
사퇴 압박을 받은 인텔의 립부 탄 최고경영자(CEO)가 이날 백악관을 찾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난 가운데 주가는 5.46% 뛰었다.
메타가 3.15% 강세, 마이크로소프트(1.40%), 알파벳(1.25%), 애플(1.09%), 엔비디아(0.55%), 테슬라(0.53%) 등 대형 기술주가 상승 마감했다.
US뱅크웰스매니지먼트의 톰 헤인린 투자전략가는 "9월 금리인하를 기대하는 이들이 점점 늘고 있다. 금리는 하락 추세, 기업 이익은 상승 추세에 놓여있다"며 "현재 주식시장은 '골디락스(Goldilocks)'와 유사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