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금리인하 신호' 호재 소멸
낙관론 진정에 랠리 멈춰
27일 엔비디아 실적 발표 주목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25일(현지시간) 하락 마감했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잭슨홀 연설을 추가로 소화하는 가운데 9월 금리인하가 확정적이진 않다는 경계감이 고개를 들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77% 내린 4만5,282.47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43% 내린 6439.32로 마무리됐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도 0.22% 내린 2만1449.29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미국증시는 지난 주말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으나 금리 인하 불확실성으로 일제히 하락 출발했다.
파월 의장은 22일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실업률과 기타 노동시장 지표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정책 기조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수 있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이 제약적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 기본 전망과 위험 균형의 변화는 정책 기조 조정을 정당화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파월의 발언은 비둘기파적으로 해석되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졌지만 이날은 전반적으로 보합권에서 숨을 고르는 분위기다.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열어둔 것이지만 확정 짓지는 않았고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까지는 물가·고용 지표를 더 봐야 한다는 신중론이 더해지면서 추가 상승 동력을 잃었다.
월가 은행들도 9월에 연준이 25베이시스포인트(1bp=0.01%)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맥쿼리, 도이체은행은 앞서 12월에 각각 처음 금리 인하를 예상했으나 두 은행 모두 9월과 12월에 각각 25bp씩 인하하는 것으로 수정했다.
모건 스탠리 역시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9월 인하 확률은 50%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모건 스탠리는 노동 및 인플레이션 데이터에서 추가적인 약세가 확인되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모건스탠리 최고 투자 책임자인 리샤 샬렛(Lisa Shalett)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경기 침체가 없다면 완화 사이클이 얕아질 경향이 있고 최대 경제 주체의 금리 민감도가 의미 있게 하락했다는 현실을 고려하면 우리는 어떤 경우에도 금리 인하의 영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고 경고했다.
시가총액 상위 기술주 가운데서는 엔비디아와 알파벳은 강세를 보였지만 대부분 대형 기술주는 약세를 면치 못했다. 투자자들은 27일(현지시간) 발표될 엔비디아의 실적을 주목하고 있다.
엔비디아(1.02%), 브로드컴(0.08%), 테슬라(1.94%), 넷플릭스(1.11) 등은 상승 마감했지만 마이크로스프트(-0.59%), 애플(-0.26%), 아마존(-0.39%), 메타(-0.20%), 인텔(-1.01%)등은 약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