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SMC가 차세대 2나노미터(nm) 반도체 양산을 앞두고 수율 60%를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양산 전 시험생산 단계에서 이뤄진 수치로 실제 양산이 시작되면 더 높은 수율도 기대된다.

 

29일 대만 언론 자유시보 등은 TSMC가 북부 신주 바오산 20 팹(P1, P2)과 남부 가오슝 22 팹에서 2나노 시험 생산을 진행한 결과, 수율이 60%를 넘었다고 보도했다.

 

TSMC는 지난 4월 1일부터 고객사의 2나노 제품 주문을 받기 시작했으며 올해 말까지 월 4만5000~5만 장, 2026년에는 월 10만 장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향후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에 완공된 제2공장이 양산에 돌입하면 2028년에는 월 20만 장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TSMC의 핵심 고객사 중 하나인 애플은 2나노 초기 생산 물량의 절반가량을 계약했으며 해당 칩은 2025년 출시 예정인 아이폰 18 시리즈의 A20 및 A20 프로 칩셋에 탑재될 예정이다.

 

웨이퍼 1장당 가격은 약 3만 달러(한화 약 4000만 원)로 전해졌다.

 

향후 로드맵도 속도를 내고 있다. TSMC는 바오산 20 팹의 P3, P4에서 2027년 말 차세대 1.4나노(A14) 생산에 착수하며 가오슝 22 팹의 P6와 중부 타이중 확장단지의 25 팹에서도 1.4나노 공정을 준비 중이다.

 

타이중에서는 총 4개의 1.4나노 공장이 건설되며 2028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노미터는 반도체 회로의 선폭을 나타내는 단위로 수치가 낮을수록 전력 소모는 줄고 성능은 높아진다. 현재 상용화된 가장 앞선 공정은 3나노로 TSMC 삼성전자가 주도하고 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