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첫 금리인하다. Fed가 이 같은 결정을 내리면서 한국은행도 다음 달 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9월 17일(현지 시간) 이틀간의 회의를 마친 뒤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0.25%p 인하 이후 다섯 차례 동결을 이어오다 9개월 만에 인하를 결정했다.

 

Fed는 금리를 인하한 이유로 크게 세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로 올해 상반기 경제활동이 완화된 점을 꼽았다. 둘째는 고용 증가세의 둔화다. 셋째로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빅컷’(0.50%p 이상 대폭 인하)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전날 그가 임명한 스티븐 마이런 신임 Fed 이사(국가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겸임)는 0.50%p 인하에 표를 던졌으나 나머지 위원들이 0.25%p 인하에 찬성하며 불발된 것으로 전해진다.

 

Fed는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의 중간값을 3.6%로 제시했다. 이를 감안하면 연내 두 차례 추가 인하가 예상된다.

 

Fed 통화완화 기조가 뚜렷해진 만큼 한은도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원·달러 환율 상승과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걱정을 다소 덜었기 때문이다.지난 5월 이후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역대 최대 수준인 2.00%p까지 벌어졌다. 이날 금리인하로 한·미 금리차는 상단 기준 1.75%p로 줄었다. 환율·자본유출 압력이 다소 축소됐다.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을 크게 밑돌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이에 따라 한은이 10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10 23 통화정책방향 회의 전까지 서울 집값이 계속 오르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경우 11월로 인하 시점이 미뤄질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