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 선전 텐센트 본사.
중국 선전 텐센트 본사.

 

텐센트는 14억 명이 사용하는 ‘위챗’ 메신저에 기반해 위챗페이, 게임 개발·퍼블리싱, 클라우드, AI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중국 복합 IT 서비스 기업이다. 중국 내 높은 시장 장악력으로 중국 기업 중 시가총액 1위 기업이다.

첫째 투자포인트는 중국 디지털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다. 중국은 내수부진, 미국 관세 등의 이유로 GDP 성장률이 4~5%에서 정체 중이다. 반면 텐센트는2019~2024 CAGR 12%, 최근 3분기 연속 두 자릿수의 고성장을 기록했다.

텐센트는 중국 내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 기업이다. 월간활성사용자(MAU) 14억 명을 보유한 Weixin 메신저와의 게임 연동을 통해 강력한 마케팅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Riot Games’ 등 글로벌 게임사 인수를 기반으로 해외 매출 또한 고성장하고 있다. 실제로 2025년 상반기 해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다.중국의 14억 명에 달하는 모바일 사용자 수와 QR코드 결제시스템의 빠른 대중화는 현금 없는 사회로의 변화를 촉진했다. 위챗페이는 시장점유율 54.5%를 기록하고 있으며 중국 핀테크 시장은 42조 위안 규모로 2014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15.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포인트는 중국 AI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다. 자체 개발한 AI 모델 ‘HunYuan’을 광고 플랫폼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관심사를 파악하고 광고 성과를 최적화함으로써 2022년 4분기 이후 광고 매출 성장률이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HunYuan’을 활용해 게임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플레이어 확보 및 참여도를 높여 게임 매출은 최근 3분기 연속 20% 이상 증가했다.

텐센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에 ‘HunYuan’을 제공하면서 2024년 AI 클라우드 매출액은 두 배 이상 증가했고 글로벌 빅테크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중국 또한 AI 빅데이터 학습에 필요한 막대한 컴퓨팅 자원 수요 증가로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35.8%의 고성장이 예상된다. ‘HunYuan’은 14억 명이 사용하는 SNS와 연동되어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지속적으로 학습하며 발전하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 면에서도 챗GPT는 물론 딥시크(DeepSeek)보다 저렴하다.마지막 투자포인트는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다. 중국 정부는 과거 온라인게임을 ‘정신적 아편’에 비유하며 청소년 대상 평일 게임 금지, 신규 게임 판호 발급 급감 등 강력한 규제를 시행했다. 이로 인해 게임산업은 급격히 둔화되었다. 그러나 2025년 3월 중국 양회에서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디지털 경제의 핵심 기술에 대한 대규모 투자와 육성이 강조되었다. 이에 따라 텐센트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혁신을 주도하고 민간 기업이 경제 구조 고도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지원을 제공받고 있다. 현재 텐센트의 밸류에이션 멀티플은 성장 잠재력 대비 여전히 미국과 한국 플랫폼 기업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정부 규제완화와 이에 따른 성장성 증대, AI 사업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추가적인 상승 여지가 충분하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