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달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던 미국의 의약품 관세가 잠정 연기됐다. 미국 정부가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상에 돌입하며 관세 부과를 일시 중단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의회의 예산안 부결로 ‘셧다운’까지 겹치며 관세 담당 인력 감축으로 혼선이 커지고 있다.

 

미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1일(현지 시간) 미국 정부가 글로벌 제약사와 투자 협상에 들어가면서 관세 부과를 미뤘다고 보도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공장이 없는 기업의 브랜드·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화이자는 지난달 30일 미국에 700억 달러(약 98조 원)를 투자하고 저렴한 가격에 의약품을 공급하는 조건으로 3년간 관세 면제를 받았다. 정부는 이를 ‘이상적인 계약 모델’로 평가하며, 다른 제약사들과도 유사한 합의를 추진할 전망이다.

 

관세 유예로 국내 바이오 업계는 일단 한숨을 돌렸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방침을 수차례 번복하면서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관세 면제 기준과 세부 가이드라인이 없어 업계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SK바이오팜은 푸에르토리코에, 셀트리온은 미국 뉴저지에 생산 거점을 확보하며 대응 중이다. 다만 일부 기업은 높은 미국 현지 운영비를 고려해 차라리 관세를 부담하는 편이 낫다는 고민도 하고 있다.

원문기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