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정부 기능 정지)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이 비트코인과 금 같은 안전자산으로 몰리고 있다. 그 결과, 비트코인 가격이 사상 최고가에 근접하며 시장의 관심을 다시 집중시키고 있다.

비트코인


3일(현지시간)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대표 암호화폐인 비트코인은 이날 약 2% 상승해 12만3,874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8월 14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12만4,480달러)에 불과 1% 미만으로 접근한 수치다.

비트코인의 이번 급등은 단기적인 투기 수요보다는 미국 정부의 셧다운 사태가 방아쇠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많다. 달러 흔들리자 비트코인 ‘부각’되는 현상으로 분석되며 미국의 연방정부가 예산안 처리 실패로 셧다운에 돌입하면서, 미 달러화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그 반사효과로 비트코인이 안전자산으로 재조명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 주 들어 비트코인 가격은 약 12% 상승하며 빠른 속도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SC)의 제프 켄드릭은 투자 노트에서 “이번 셧다운은 과거와 달리 비트코인의 위상이 크게 달라졌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그는 “2018~2019년 트럼프 1기 당시 미국 역사상 최장 셧다운이 벌어졌을 때는 비트코인 가격 변동이 거의 없었다”며, “당시에는 비트코인이 안전자산으로 인식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현재는 다르다. 켄드릭은 “약해진 달러의 빈자리를 비트코인이 메우고 있다”며, 비트코인이 실질적인 ‘디지털 피난처’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SC는 향후 비트코인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단기적으로 13만5,000달러까지 오를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비트코인뿐만 아니라 또 다른 전통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도 오름세를 보였다. 금은 이날 0.5% 상승했으며, 이번 주 전체로는 2% 이상 상승했다.

반면, 미국 달러 가치는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다. 달러지수는 이번 주 0.5% 하락했으며, 지난 1년 기준으로는 4.6% 하락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의 셧다운 사태와 함께 무역정책, 고관세 기조 등으로 달러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며, 달러 약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원문기사

반응형